【서울뉴스통신】 한반도 주변정세가 요동치고 있다. 우리의 혈맹인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은 미국제일주의를 내세워 미증유의 한·미관계를 예상케 하고, 중국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지도부는 중화민족 부흥의 꿈(中國夢)을 앞세우고 일대일로(一帶一路), 곧 육·해상 신 실크로드 대전략을 추구 중이다. 일본의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내각은 미국의 대 중국 견제전략인 아시아 회귀·재균형 정책에 기대어 전쟁 수행이 가능한 보통국가를 향해 착착 나아가고 있다. 아베 내각은 미국과 ‘신(新)밀월’을 구가하고 있다.

냉전시대 양대 강국이던 미국과 러시아는 동북아·태평양에서의 영향력 감소를 경계, 유지·확대를 부단히 꾀하고 있음은 불문가지의 사실이다. 미·중·일·러가 자국 이익에 따라 민첩하게 이합집산을 거듭하고 있다. 우리 정부의 능동적 외교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때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이 오는 29, 30일(현지시간) 미 워싱턴에서 열린다. 향후 한·미관계를 엿볼 수 있는 풍향계 같은 두 정상의 만남이어서 회담 결과에 초미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은 역대 정부 중에서 취임 후 가장 빠른 회담이지만 가장 불확실한 회담이라는 우려가 없지 않다. 양국 간에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방위비 분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등 4대 핵심 현안으로 다뤄질 예정이다. 네 가지 사안 모두 한·미관계를 흔들 수 있는 폭발성을 지닌다.

무엇보다 최근 양국 간 미묘한 인식 차이를 드러낸 사드 배치 문제는 뜨거운 감자로 떠오를 공산이 크다. 사드 문제는 국내적 조치로 여기는 문 대통령의 판단과는 달리 이미 한·미 간에 가장 중요한 외교 이슈로 떠오른 상태다. 미국 정부는 청와대가 7일 사드 배치와 관련해 사업인가 전 시행하는 전략환경영향평가 가능성을 언급한 데 대해 강한 불쾌감을 표시하고 있다. 문·트럼프 두 정상이 취임 후 첫 대좌하는 회담이 삐거덕 댈 수 있는 소지가 가장 많은 주제로 운위되는 배경이기도 하다.

현실이 이렇다면 문재인 정부 외교안보라인은 좀 더 신중한 자세로 임해야 한다. 물론 새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이 과거와 궤를 달리한다는 것은 새삼스러운 게 아니다. 핵심 인사들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북한과의 대화를 강조하면서 대북제재 대신 교류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역설해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달 말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문정인 외교안보특보처럼 굳이 미국의 전략자산이나 군사훈련 축소 같은 미묘한 문제를 언급하는 게 시기적으로 적절한지 의문이다. 자칫 한·미 관계의 틀을 흔들 소지가 작지 않기에 하는 말이다.

굳건한 한·미 동맹에 기반한 한·미·일 공조, 한·중-한·러 간 전략적 제휴는 한국 안보를 유지해온 주춧돌 같은 존재다. 특히 미군은 북한이 6·25 남침을 했을 때 가장 먼저 달려와 자유를 지켰고, 우리는 그런 미국의 안보 우산 아래에서 자유와 번영을 이루었다. 정권이 바뀌어도 결코 변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다. 이번 정상회담이 양국의 신뢰를 재확인하고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혈맹의 우의를 다지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첫 한·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위해 당·정·청이 비상한 협력 모델을 구축할 때다. 물론 야당도 힘을 보태야 한다. 외교안보엔 초당적 대처가 긴요한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