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울뉴스통신】 감사원 감사 결과 금융감독원의 불법 채용 비리 의혹이 드러나면서 그 후폭풍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검찰 수사가 불가피할 수 있어 금융계의 촉각을 곤두세우게 하고 있다.

21일 감사원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지난 2016년도 신입 정직원 채용 과정에서도 특정인의 청탁을 받고 필기시험에서 탈락한 지원자를 불법 채용한 것으로 감사원 감사 결과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에 앞서 금감원은 지난 2014년 전직 국회의원의 아들인 변호사 특혜 채용으로 물의를 빚은 바 있어 잇단 인사비리로 얼룩지고 있다.

전날 감사원이 발표한 '금감원 기관운영감사 결과'에 보면 2015년 10월 금감원의 '2016년 신입직원 채용' 당시 담당 국장이었던 A국장은 한 지인으로부터 경제학 분야에 지원한 B씨가 합격 대상인지 문의 받았다.

B씨는 경제학 분야 최종 채용 예정인원(11명)의 2배수(22명)를 뽑는 필기전형에서 23위를 기록해 탈락할 상황이었지만 A국장은 B씨를 합격시키기 위해 경제학 등 3개 모집분야의 채용예정 인원을 1명씩 늘렸다.

이로 인해 필기전형에 합격한 B씨는 면접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최종 합격했다. A국장은 면접위원으로 참여해 B씨에게 10점 만점에 9점을 줬다는 것이 비리 내용.

금감원은 국가기관인 금융위원회와 함께 민간기관으로서 금융시장에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면서도 견제는 느슨하다는 지적이 줄곧 있어왔다.

감사원은 "공공기관이 조직·정원·예산을 확대할 경우 다양한 통제 및 견제장치가 있는 데 반해 민간기구 형태인 금감원의 경우 이러한 견제장치도 미흡하다"며 "정부조직처럼 다양한 권한을 행사하면서도 민간조직처럼 통제는 받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금융소비자원 등 민간단체들이 줄기차게 금감원의 문제점을 지적해왔던 빌미가 되곤 했다.

문 대통령은 금융정책과 금융감독을 동시에 관장하는 금융위원회 체제를 바꿔 정책 기능과 감독 기능을 분리하자는 대선 공약을 내놓은 바 있다.

대통령의 공약 싱크탱크였던 '민주당 더미래연구소'와 여당은 금융위의 정책기능을 기획재정부 쪽으로, 감독 기능은 금융감독원으로 넘겨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됐다. 이 과정에서 금감원에 대한 공공기관 지정 논의도 같이 진행될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사에는 군림하고 정부부처에는 눈치를 보는 어정쩡한 위치이다보니 권력에 따라 조직이 휘청거릴 여지가 있다"며 "이번 기회를 계기로 금융감독체계를 전반적으로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