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국내 시장 영향 제한적"…기재부 "정책금리 역전만으로 대규모 자금유출 가능성은 크지 않아“

▲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 의장.(사진 = MBC TV 화면 캡처)

【서울=서울뉴스통신】 이상숙 기자 =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의장 제롬 파월)가 13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기존 1.50~1.75%에서 1.75~2.00%로 올랐고, 한미 양국 간 기준금리 차이도 0.5%포인트로 확대됐다.

미 연준은 이날 이틀 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이같은 내용의 기준금리 인상안을 확정해 발표했다.

연준은 지난 3월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데 이어 올해 두 번째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연준은 지난 5월 물가가 목표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한 바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아 제로금리(0~0.25%) 정책을 이어오던 미국은 지난 2015년 12월부터 금리를 조금씩 인상하기 시작했다.

지난 2016년 12월과 지난해 3월·6월·12월, 올해 3월까지 모두 6차례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또 연준은 올해 하반기 두 차례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도 시사했다.

일각에서는 한미 기준금리 역전 폭 확대에 따라 외국인 투자자금이 유출되거나 국내 대출금리가 상승해 시장이 불안정해질 것이란 우려를 내놓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4일 오전 한은본부에서 출입 기자들과 만나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관련, "국내 금융시장에 제한적인 영향을 주겠지만 일부 취약 신흥국에 앞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금리인상 경로를 보여주는 '닷차트(점도표)'를 보면 올해 2번 더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시장에서는 '호키시(매파적)'하게 평가하면서도 전혀 예상치 못했던 결과가 아니라고 받아들여 시장 분위기가 차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 시장에 준 영향이 제한적으로 나타난 만큼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우려할 정도는 아니고, 제한적일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 두번의 (미국) 금리인상만으로 자본유출이 촉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많다"며 "하지만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졌고, ECB(유럽중앙은행)도 완화기조를 축소할 뜻을 시사했기 때문에 국제 자금이동, 국제 투자자들의 위험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는 봐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자본유출과 관련해서도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터키 등 일부 신흥국의 금융불안 상황이 변수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계했다.

한편 한은은 이날 오전 7시 30분 허진호 부총재보 주재로 통화금융대책반 회의를 열어 미 연준의 FOMC 회의 결과가 금융 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점검했다. 회의는 비공개로 진행됐으며 유상대 부총재보와 통화정책국장, 금융시장 국장, 국제국장, 공보관, 투자운용1부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와 관계기관은 14일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획재정부 고형권 제1차관 주재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연준의 6월 FOMC 결과에 따른 글로벌 시장 영향과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은 "전반적으로 시장에 영향은 제한적"이라면서 "일각에서 한미 기준금리가 최대 0.50포인트까지 역전되면서 외국인 자본의 급격한 유출 가능성을 우려하기도 하지만, 정책금리 역전만으로 대규모 자금유출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금리가 올라가면 투자 수익률이 떨어진다. 특히 재건축, 수익형 부동산 등 투자 상품 위주의 부동산들이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