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제의 성장 동력 약화 및 동아시아의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가능성에 유의해야"

▲ (자료 = 한국은행, 해외경제포커스)

【서울=서울뉴스통신】 이상숙 기자 = 최근 중국의 대만행 개인여행 잠정 중단 조치(8월 1일) 및 홍콩의 '범죄인 인도법' 관련 시위 등으로 중국과 대만·홍콩 간 갈등이 심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중국과 대만·홍콩 간의 관계 변화는 우리 경제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전망이라는 보고서가 나왔다.

6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해외경제포커스에 실린 '중국과 대만·홍콩 간의 관계 : 동향 및 전망'을 보면 대만·홍콩과의 관계 악화가 초래할 수 있는 중국경제의 성장 동력 약화 및 동아시아의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무역 및 금융 연계성을 감안할 때 모니터링을 강화해야한다고 주장했다.

2018년 기준 대만과 홍콩은 각각 우리나라의 6위(208억달러), 4위(460억달러)에 해당하는 주요 수출지역이며 이들 지역을 통한 대중국 수출도 상당한 규모 차지했다. 특히 대대만 및 홍콩 수출 중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31.3% 및 73.0% 수준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대홍콩 수출 중 중국으로 재수출되는 비중은 82.6%다.

성장세 둔화에 더해 금융시장 불안정이 심화될 경우 중국경제 경착륙론 혹은 위기론이 확산될 소지가 있다. 홍콩 시위 전개 양상 및 중국의 대응, 양안간 갈등 격화 가능성 등 다양한 상황에 따른 중국경제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과 대만은 국공내전(1949년) 이후 30여 년간 대립하였으나 대만의 민주화(1987년) 이후 긴장완화기(국민당 집권시와 갈등기(민진당 집권시)를 반복해왔다. 최근 차이잉원 총통의 집권(1916년~) 후에는 대만의 중국에 대한 지속적 비판, 중국의 대만에 대한 정치·외교적 압력 등으로 양안 관계 갈등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아편전쟁 이후 영국에 할양되었던 홍콩은 1997년 중국에 반환된 이후 '일국양제(一國兩制)' 체제하에 운영되고 있으나 다양한 측면에서 갈등 및 협력 관계가 표출되고 있다. '일국양제'는 중국의 사회주의·공산주의 체제와 홍콩의 민주주의·자본주의 체제가 일정 기간(1997~2047년) 조건부로 공존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지난 6월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가 시작되면서 홍콩의 자치권 관련 갈등이 표면화되면서 '반(反)중국' 정서가 강화되는 양상이다.

대만의 중국과의 관계 악화는 미국의 대중 추가관세 부과 및 중국 성장세 둔화 등과 함께 대만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중국은 2018년 기준 대만의 최대 수출(29.0%) 및 투자 지역(37.3%)이다. 중국과의 관계 악화는 미국의 대중 관세 부과 등과 함께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 관광수입 감소 등으로 대만경제의 성장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

(자료 = 한국은행 해외경제포커스)

중국 정부의 대만 개인여행 금지조치(8.1일)에 따른 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관광수입도 감소할 전망이다. 내년 1월까지 관광객이 70만명 감소(대만 여행사협회 추정)할 경우, 평균 지출액(2018년 기준) 감안시 약 10.5억달러 관광수입 감소 추정했다.

올해 대만 성장률은 2% 초반까지 하락 예상(JP Morgan, Citi 등)됐고, GDP 성장률은 2017년 3.1%, 2018년 2.6%, 2019년 상반기 2.1%로 떨어졌다.

대만과의 교역 부진 및 대만 기업 리쇼어링 등은 둔화되고 있는 중국경제에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미국의 대중 추가관세 부과로 중국 소재 대만 기업들의 '탈중국화'가 가속화되며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소지가 있다. 대만 기업의 약 30~50%가 이전할 경우, 2년간 177만~295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Citi, 2019.7월)했다.

대만 기업들은 중국에서 약 천만여명을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주요 대만 기업들의 중국 이탈은 중국 정부가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추진중인 '중국제조 2025' 등 산업구조 고도화 정책의 지체를 초래하면서 핵심분야 기술개발에도 부정적 영향이 전망된다. 중국 최고 IT기업 화웨이(Huawei)의 핵심 부품 공급업체 92개중 2018년 11월 기준 대만 기업 10개가 속해있다. 미국 33개, 중국 25개, 일본 11개다.

중국과 대만 관계의 경우 내년 1월 대만 총통 선거 결과에 따라 향후 방향성이 좌우될 전망이다.

(자료 = 한국은행 해외경제포커스)

한편 홍콩 전체 교역 중 대중국 거래가 50.4%에 이르며 홍콩도 중국의 수출지역 중 2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등 양 지역은 밀접한 교역관계에 있다. 특히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중국 기업의 홍콩 주식시장 상장 및 위안화 국제화 등의 측면에서 홍콩은 중국경제의 발전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글로벌 성장세 둔화와 미·중 무역분쟁 관련 불확실성 속에 현재의 시위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홍콩은 수출, 관광업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상당폭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중국·홍콩간 관계 악화는 홍콩 관광업 및 소매업을 중심으로 홍콩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홍콩 정부가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의 2∼3%에서 0∼1%로 하향 조정(재정국, 8.15일)했다. GDP 성장률은 2017년 3.8%, 2018년 3.0%, 2019년 상반기 0.6%으로 떨어졌다. 뱅크오브아메리카 0.1%, 모건 스탠리 0.3% 등 일부 기관은 마이너스 성장 전망을 내놓았다.

(자료 = 한국은행, 해외경제포커스)

수출증가율이 금년중 4% 내외 하락해 2009년(-12.6%) 이후 최대 하락폭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홍콩무역발전국, 9.23일)했다. 2017년 8.0%, 2018년 7.4%, 2019년 상반기 -3.6%로 떨어졌다.

(자료 = 한국은행 해외경제포커스)

중국이 2003년 홍콩 개별관광을 허용한 이후 중국인 관광객이 큰 폭 증가했다. 2018년중 홍콩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5104만명으로 전체 홍콩 방문 관광객의 78%를 차지했다. 중국인 관광객 소비는 연간 홍콩 소매판매의 44.3%(2018년)를 차지할 정도로 홍콩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미·중 무역분쟁 및 시위 등 요인으로 홍콩의 소매판매는 2019.2월 이후 하락세다. 소매판매 증가율은 2018년 12월 0.1%, 2019년 2월 -10.2%, 4월 -4.5%, 7월 -11.4%다. 한편 2018년중 중국 방문 홍콩인은 7937만명으로 전체 중국 방문자의 56.2% 수준이다. 이중 당일 여행객이 5117만명(64.5%)이다.

또한 홍콩 사태 격화로 8월중 홍콩국제공항 이용 승객수가 전년동기대비 12.5%(85만명) 감소하며 금융위기 여파에 따른 글로벌 경기 둔화 및 홍콩 A형(H1N1) 인플루엔자 유행으로 급감했던 2009년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중국경제도 홍콩 사태가 원만하게 해결되지 못할 경우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성장의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홍콩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며 홍콩을 경유하는 중국 관련 투자가 급감할 소지가 있다. 특히 글로벌 금융허브로 기능하면서 중국 금융시스템의 미비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 홍콩의 불안정은 중장기적으로 중국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알리바바는 금년중 홍콩 증시 상장(최대 150억달러 규모) 예정이었으나 시위 지속에 따른 불확실성 증대로 상장 연기(2019.8월)했다.

중국과 대만·홍콩 간의 관계 악화는 이들 지역 및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대만·홍콩의 경우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무역, 투자 등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성장 하방압력이 확대될 소지가 있다.

또한 무역 및 금융 연계성을 감안할 때 중국과 대만·홍콩 간의 관계 변화는 우리나라 경제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양한 상황에 대비한 모니터링 강화가 필요한 이유이다.

(자료 = 한국은행 해외경제포커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