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통신】 우리 경제의 건실화를 저해하는 부채 줄이기에 나서야 한다.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한은 자금순환동향 통계의 가계부채(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포함)는 지난해 말 1565조8100억원에 달했다. 또 경제 규모에서 가계부채가 차지하는 비중을 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95.6%까지 증가했다.

심각한 것은 올해 들어 가계, 기업 등이 비은행권에서 빌린 돈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난 4월 말 현재 비은행금융기관의 여신 잔액은 762조2869억원으로 집계됐다. 비은행금융기관에는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생명보험사 등이 들어가고 대부업체는 포함되지 않는다.

문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금리 추가 인상 등 대내외 여건으로 시중금리가 더 오르면 이자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한은의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를 보면 지난 4월 예금은행 대출금리는 연 3.42%(신규취급액 기준)다. 저축은행(10.77%), 신용협동조합(4.66%), 새마을금고(4.01%), 상호금융(3.93%) 등 제2금융권의 일반대출 금리가 은행보다 훨씬 높다. 제2금융권을 많이 이용하는 서민과 중소기업들이 막다른 골목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를 사고 있다.

가계부채가 한국 경제의 가장 위험한 시한폭탄이 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가계부채가 늘어나는 것은 저금리와 부동산 활황에 따른 영향이 크다. 어렵게 살려놓은 부동산 시장을 얼어붙게 하지 않으면서 가계부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가계부채 폭탄이 터지면 그 부담을 국민들이 고스란히 뒤집어써야 한다.문재인 정부 김동연 경제팀이 ‘소득주도’ 성장에 성공하려면 소비 부진과 고용사정을 개선하는 일을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당국은 가계부채 증가세를 멈추게 할 뿐 아니라 점진적으로 줄일 수 있는 종합처방을 내놓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