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영수, 국리민복 위한 대화 기대한다

2015-03-17     서울뉴스통신 편집부
【서울뉴스통신】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 김무성,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오늘 오후 청와대에서 만난다.

2012년 대선에서 격돌한 박 대통령과 문 대표는 당시 TV 토론 이후 2년 3개월 만에 처음으로 정식 대면하게 돼 오늘 회동은 사실상 여·야 영수회담으로 받아들여진다.

이 회담을 바라보는 국민 여론은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그동안 대부분의 회담이 각자 자기 말만 하고 마친 후 야당에서는 대통령의 소통부재를, 청와대와 여당은 야권의 편협성을 비판한 사례가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우려 속에서도 문 대표가 지난주 말에 “많은 합의가 아니고 당장 눈에 띄는 성과는 아니더라도 국민에게 희망을 드리고 싶다”고 말한 점이 주목된다.

이번 회담 의제는 박 대통령의 중동 순방 결과와 민생경제 현안 설명위주라고 한다. 하지만 이번 회동에서 광범위한 의제를 다룰 것을 주문한다. 나라의 어려운 문제에 대해 흉금을 터놓고 논의하는 자리가 돼야 하는 것이다.

여·야 영수 간 소통 자체가 의미가 있는 만큼 이번에 한·일 관계 등 외교 문제와 국내 경제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의견을 교환하고 처방을 내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 남북관계를 포함해 동북아의 중대한 현안인 미국의 한반도 내 고고도미사일 곧 ‘사드(THAAD)’ 체계 배치와 통일 문제를 화두로 꺼내 이번 기회에 통일 준비의 전기를 마련한 것도 고려해봄 직할 것이다.

물론 민생을 챙기는 등 경제살리기는 화급한 일이다. 박 대통령과 문 대표 모두 최근 우리 경제와 민생이 어렵다는 데 총론적으로 공감하고 있기에 주요 의제가 되는 데는 무방하다. 다만 박 대통령과 문 대표 사이에는 방법론이나 각론의 차이만 보일 뿐이다.

한 번의 만남으로 모든 것을 타결하겠다고 욕심을 내기보다 의견일치가 가능한 부분이나 방향 등 최소한이나마 결과물을 내놓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두 사람 모두 임금 인상 등을 통한 가계의 가처분소득을 늘려 경제를 회복시키는 방안에 동의하고 있기에 이를 매개로 지속적인 대화의 틀을 마련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만하다.

우리는 대통령이 정치권에 귀를 열고 여·야 대표들의 목소리를 잘 듣는 게 중요하다고 본다. 문 대표는 청와대가 한 것을 평가만 하지 말고 구체적 대안을 내놓아 수권정당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길 바란다.

새누리당 김 대표는 야당을 압박해선 안 되고 대통령과 야당의 가교 역할을 함으로써 정치권이 국리민복을 위해 공감대를 넓혀가는 데 힘써야 할 것이다. 오늘 회동에 기대를 갖게 하는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