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15.6% 감소

산업부, 2022년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발표

2022-07-15     송혜숙 기자
정종영 산업통상자원부 투자정책관이 15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을 발표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FDI)는 금액 기준으로 신고금액은 전년동기대비 15.6% 감소한 110억9000만 달러(신고액 기준)다. 도착금액은 21.1% 감소한 69억7000만 달러다.

【서울 = 서울뉴스통신】 송혜숙 기자 = 정종영 산업통상자원부 투자정책관이 15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을 발표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FDI)는 금액 기준으로 신고금액은 전년동기대비 15.6% 감소한 110억9000만 달러(신고액 기준)다. 도착금액은 21.1% 감소한 69억7000만 달러다.

올해 상반기 FDI건수 기준으로는 신고 건수는 전년동기대비 10.1% 증가한 1640건이다. 도착 건수는 12.1% 증가한 1183건을 기록했다. 

이번 상반기 실적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글로벌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등 글로벌 투자가들의 불확실성이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던 지난해 상반기보다는 감소했지만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실적보다는 12.3% 늘어 역대 3위 실적을 기록했다.

청 정책관은 "투자 비중이 가장 큰 EU로부터 투자, 서비스업 투자가 감소했음에도 제조업과 그린필드 투자가 증가하고, 신고와 도착 건수가 모두 증가한 것은 매우 긍정적인 신호"라며 "비수도권의 투자도 전년동기대비 36.4% 증가하며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했다"고 말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신고금액 기준 비중이 15.4%인 제조업은 전년동기대비 53.3% 증가했다. 비중이 78.9%인 서비스업과 5.7%인 기타업종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26.3%, 53.7% 감소했다.

제조업에 31억 달러의 외국인 투자가 신고됐다. 의약, 식품, 제지·목재, 기계장비·의료정밀, 금속 등 업종에서 신고금액이 증가하였고 비금속광물, 운송용기계, 화공 업종에서 감소했다.

서비스업에서는 76억4000만 달러의 외국인 투자가 신고됐다. 서비스업 중에서는 운수·창고, 여가·스포츠·오락, 부동산, 연구개발·전문서비스·과학기술 등의 업종이 증가했다. 사업지원·임대, 숙박·음식, 정보통신 등 업종에서는 외국인 투자가 감소했다.

신고 건수를 살펴보면 제조업은 전년과 동일했으며, 서비스업과 기타업종이 증가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 일본, 기타 지역의 투자가 증가했고 EU와 중화권의 투자 금액이 감소했다. EU로부터 투자가 감소한 것은 작년 상반기 EU로부터 유입된 2건, 약 40억 달러 규모의 대규모 투자가 있었는데 이로 인한 역기저효과로 분석했다.

미국은 전년동기대비 39.5% 증가한 29억5000만 달러다.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모두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M&A형과 그린필드형 모두 증가했고, 특히 M&A형에서 276.7%가 늘었다.

EU는 전년동기대비 73.2% 감소한 17억4000만 달러이다.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모두 감소했다. 유형별로도 그린필드형과 M&A형 모두 줄었다.

앞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지난해 상반기 40억 달러에 이르는 2건의 투자로 인한 역기저효과가 큰 폭의 투자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중화권은 전년동기대비 13.1% 감소한 24억5000 달러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은 증가한 반면 서비스업은 감소했다. 중화권 전체 감소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 투자는 소폭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M&A형이 증가한 반면 그린필드형 투자는 다소 감소했다.

일본은 전년동기대비 62.1% 증가한 8억9000만 달러다.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모두 증가했고, 유형별로 그린필드형과 M&A형이 모두 늘었다.

신고 건수 기준으로는 미국과 EU로부터 투자가 증가했고, 중화권과 일본으로부터 투자는 했다. 대상별로 살펴보면 신고금액 기준으로 M&A형 투자는 줄었으나 그린필드형 투자는 늘었다.

그린필드형 투자는 전년동기대비 9.1% 증가한 82.6억 불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모두 증가했다. M&A형 투자는 전년동기대비 49.2% 감소한 28억3000만 달러로 서비스업은 감소한 반면 제조업은 증가했다.

신고 건수 기준으로는 그린필드형과 M&A형 모두 증가했다. 자금별로 살펴보면 신규투자와 증액투자는 감소했고 장기차관이 약간 늘었다.

신규투자는 46억1000만 달러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모두 줄었다. 증액투자는 62억3000만 달러로 서비스업은 감소했으나, 제조업 투자가 170.4%로 큰 폭의 증가를 보였다.

신고 건수 기준으로는 신규투자·증액투자·장기차관 모두 늘었다. 투자대상 지역별로 살펴보면, 신고금액 기준으로 수도권은 전년동기대비 24.9% 감소했고, 비수도권은 36.4% 증가하며 비수도권의 비중이 확대됐다.

수도권은 74억8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제조업은 증가한 반면 서비스업이 감소했다. 수도권 중에서는 시도별로 서울과 인천은 감소하고 경기도는 증가했다.

비수도권은 19억8000만 달러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모두 늘었다. 비수도권 중에서 시도별로 보면 세종, 경북 등 5개 시도에서 증가했고, 강원, 대구 등 9개 시도에서 감소했다. 신고 건수 기준으로는 수도권은 전년동기대비 8.7% 증가한 1211건을, 비수도권은 0.8% 감소한 243건을 기록했다.

수도권 내 제조업과 서비스업 투자는 소폭 증가했고, 비수도권에서는 제조업이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