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줄도산 위기감 상승…"하루에 2곳 문 닫아"
부동산 경기 침체·미분양 증가…건설사 5곳 법정관리 신청 사옥 및 알짜 자회사 매각…건설업계 유동성 확보 안간힘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부동산 경기 침체와 고금리 기조 장기화, 미분양 주택 증가, 공사비 급등 등으로 건설업계의 자금 압박이 심해지면서 건설사들이 줄도산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올해 폐업을 신고한 종합건설업체가 109곳에 달하면서 시장에선 일부 중·대형 건설사의 부도설이 나돌 정도다. 실제 올해 들어 시공능력평가순위 58위의 신동아건설과 경남지역 2위 건설사인 대저건설(103위), 삼부토건(71위), 안강건설(138위), 대우조선해양건설(83위) 등 중견건설사 5곳이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건설사에 돈을 빌려준 금융권도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 28일까지 폐업을 신고한 종합건설업체는 총 109곳으로 집계됐다. 하루에 종합건설사 1.8곳이 문을 닫은 셈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79곳)과 비교하면 30곳이 늘며 2011년(112곳) 이후 최고치다. 또 지난해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는 총 641건으로, 조사가 시작된 2005년(629건) 이후 최대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11년 3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건설업계의 유동성 위기가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국토부가 발표한 ‘2025년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28일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7만2624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7만173가구) 대비 3.5%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말에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2014년 이후 약 10년 만에 2가구를 넘어섰다. 지난달에는 6.5% 증가한 2만2872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3년 10월(2만3306가구) 이후 11년 3개월 만에 최대치다.
건설업계의 부채비율은 이미 위험수위를 넘어섰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대우조선해양건설의 부채비율은 838.8%, 삼부토건 838.5%, 신동아건설은 428.8%에 달한다. 건설업계에선 통상 부채비율이 200%를 넘기면 위험 수준으로 보고 있다. 400%를 넘기면 잠재적 부실 징후로 판단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및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시공능력평가 10대 건설사 평균 부채비율은 157%로, 전년 대비 3%p(포인트) 상승했다. 부채비율 200%를 넘은 곳은 GS건설(238%), 롯데건설(217%), SK에코플랜트(251%) 등 3곳이다. 일부 건설사는 사업 확대 등으로 차입금이 늘어나 부채비율이 늘어난 것으로 보이나, 대부분 미분양이나 미청구공사 규모 등 커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실제 지난해 3분기 10대 건설사의 연결 재무제표 기준 미청구공사액은 19조5933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1.6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계는 유동성 확보를 위해 자산 매각 등 안간힘을 쏟고 있다. 롯데건설은 최근 그룹 차원의 재무구조 개선 전략에 따라 ‘잠원동 본사 부지’ 매각을 포함한 1조원 규모의 자산 유동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217%의 부채비율을 150%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서다. 또 지난해 말 본사 사옥으로 사용하던 ‘D타워 돈의문’ 매각으로 약 1300억원의 현금을 확보한 DL그룹은 호텔 부문인 글래드호텔앤리조트를 시장에 내놨다.
또 GS건설은 수처리 전문 자회사인 GS이니마를 SK에코플랜트는 수처리 폐기물 자회사인 리뉴어스 지분 75%와 매립장 매립 자회사인 리뉴원 지분 100% 매각을 각각 추진 중이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현재 대형 건설사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최근에 시공능력평가 순위 10위권의 한 건설사가 워크아웃에 들어갈 것이란 루머가 퍼질 정도로 불안감이 상당하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건설업계의 원가 상승을 고려해 적절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나경연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경제금융·도시연구실장은 "최근 건설산업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위기에서 3고(고환율·고물가·고금리) 지속, 대내외적인 불확실성 증가로 원자재값 급등과 인건비 상승으로 곳곳에서 공사비 갈등이 심해지고 있다"며 "주택·부동산 시장이 회복되지 못하고 건설 매출과 수익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어 폐업 및 부도 건설업체가 증가하는 등 건설업계가 심각한 붕괴 위기에 처해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적정 공사비를 보장하지 않는 한 건설산업은 지속 가능할 수 없다"며 "발주자가 적정 공사비 산정 책임을 지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하고, 물가 변동을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