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인간의 노동과 감정을 먹고 자라는 AI…'AI는 인간을 먹고 자란다'
옥스퍼드대 연구진, AI를 ‘추출 기계’로 비판적 조망 디지털 식민성과 플랫폼 노동의 그림자…기술 감시 대안도 제시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기계는 인간을 먹고 자란다. 그것은 우리의 노동, 우리의 창작, 우리의 시간을 삼킨다.”
신간 'AI는 인간을 먹고 자란다(흐름출판)'는 인공지능(AI)의 눈부신 기술 발전 이면에 숨겨진 인간 노동과 착취의 구조를 날카롭게 해부한다. 이 책은 옥스퍼드대학교 인터넷연구소 소속 연구진 마크 그레이엄, 제임스 멀둔, 캘럼 캔트 등이 공동 집필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AI를 ‘추출 기계(Extraction Machine)’로 규정한다.
‘추출 기계’란 인간의 지식, 감정, 창의성, 노동을 데이터로 흡수한 뒤 이를 알고리즘으로 가공해 자본의 이윤으로 환원하는 구조적 메커니즘이다. 책은 오늘날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 서비스가 보이지 않는 수많은 노동자의 시간, 판단, 클릭, 분류, 태깅 등으로 만들어졌다고 강조한다. 결국 AI는 인간의 삶을 재료로 삼아 작동하는 기계에 불과하다는 비판이다.
저자들은 특히 AI가 중립적 기술이 아니라, 설계된 권력 구조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알고리즘은 특정 세계관과 이해관계를 반영하며, 불평등과 차별을 심화시킬 수 있는 통제 장치가 된다는 설명이다. 이들은 이를 ‘디지털 식민성’이라 명명하며, 빅테크 기업들이 글로벌 남반구에서 데이터를 추출해 북반구에서 이윤을 창출하는 식민주의적 착취 구조를 재현하고 있다고 경고한다.
책은 7명의 노동자 사례를 통해 AI가 실제로 어떻게 인간의 창의성을 잠식하고, 노동을 소외시키며, 민주주의를 위협하는지 생생히 보여준다. 동시에 기술 감시에 대한 시민사회의 권한 확대, 알고리즘 설계의 민주적 통제, 플랫폼 노동자에 대한 법적 보호 등 실질적인 대안도 함께 제시한다.
'AI는 인간을 먹고 자란다'는 단순한 기술 비평서를 넘어, 기술의 윤리와 권력 문제를 고민하는 이들에게 날카로운 통찰을 제공하는 책이다. AI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이 책은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우리는 누구의 노동 위에 편리함을 누리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