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나도?" 치매 공포 확산…국민 80% "초기 치료 필요"
치매 두려움 공감 90%…4060세대 가장 높아 경도인지장애 인지도 확산…치매 고위험군으로 주목 정부 지원 필요성 80% 넘어…국정과제 반영 촉구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가운데 치매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최근 실시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9명은 치매에 대한 두려움과 부담감을 느끼고 있으며, 80% 이상은 치매가 중증으로 악화되기 전 초기 단계에서 치료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치매학회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와 함께 실시한 ‘초고령사회 치매 인식 및 치매 조기 치료 정책 수요’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90.4%가 치매에 대한 두려움과 부담을 호소했다. 특히 40대와 60대 응답자의 공감 비율이 각각 94.9%, 94.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치매로 인한 사회적 의료비 및 돌봄 비용 부담에 대해 81.2%가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은 40~60대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3년 알츠하이머성 치매로 발생한 건강보험 의료비 지출은 1조8694억원에 달했다. 치매 환자 가족들 중 절반 가까이는 경제적 부담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고 있다.
치매의 초기 단계인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인지도도 점차 확산되는 추세다. 이번 조사에서 ‘경도인지장애’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77.9%에 달했으며, 이는 3년 전 같은 조사 결과(41.3%)에 비해 크게 상승한 수치다. 다만 경도인지장애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27.7%에 그쳐 여전히 구체적 이해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인지장애는 치매로 진행될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계로, 정상인에 비해 매년 10~15%가 치매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조기 치료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와 관련해 응답자의 81.2%가 초기 단계 치료의 필요성에 동의했으며, 치매 환자가 가족이나 지인 중에 있는 응답자의 경우 이 비율은 85.5%로 더욱 높았다. 아울러 치매 신약 치료에 대해 81.5%가 건강보험 적용 등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새 정부 출범 이후 국정과제 수립과 보건복지부의 제5차 치매관리종합계획 수립을 앞두고 국민 인식과 정책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됐다. 응답자의 78.3%는 정부가 경도인지장애 등 초기 단계의 진단과 치료 지원을 포함한 선제적 치매 관리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최성혜 대한치매학회 이사장은 “새 정부가 수립할 국정과제와 제5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이 기존의 틀을 넘어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전환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