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놀이 후 다리 붓고 열감 있다?"…'비브리오 패혈증' 의심해야
비브리오 패혈증, 해수 접촉만으로도 감염 가능 봉와직염도 여름철 급증…벌레 물림·상처 주의 전문가 “고위험군, 증상 나타나면 즉시 병원 찾아야”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휴가철을 맞아 해변과 바다로 향하는 이들이 많아진 가운데, 여름철 물놀이 이후 주의해야 할 중증 감염병에 대한 경고가 나오고 있다. 특히 바닷물 접촉만으로도 감염될 수 있는 비브리오 패혈증과 봉와직염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어 초기 대응이 중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이 이어지고 있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라는 세균이 체내로 침투해 발생하는 급성 패혈증으로, 많은 이들이 생선회나 조개류 섭취로만 감염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바닷물에 발만 담가도 감염될 수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체 환자 중 약 30~40%는 해수 접촉을 통한 감염으로 확인됐다.
국내에서는 매년 5월부터 10월까지 비브리오 패혈증이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해수 온도가 18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7~9월 사이 급증하는 경향을 보인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총 286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올해 첫 환자는 5월 초 충남 지역에서 발생해 70대 만성 간질환자가 확진을 받았다.
감염 초기에는 고열과 오한, 설사, 피부 붓기나 물집 등이 빠르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감염내과 전문가들은 상처가 바닷물에 닿았을 경우 반드시 소독과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당뇨병, 간질환,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은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패혈증으로 악화할 수 있어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은 봉와직염 발생 위험도 높인다.
봉와직염은 연쇄상구균이나 포도상구균이 피부의 작은 상처를 통해 침입해 생기는 염증성 질환으로, 주로 다리나 발목 등 노출 부위에 발생한다. 초기에는 감기와 유사한 오한, 통증, 열감이 동반되며, 병변 부위에는 물집이나 심한 붓기가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치할 경우 고열이나 패혈증 등으로 악화될 가능성도 있어 조기 치료가 필수적이다.
한편, 전문가들은 물놀이 전후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벌레 물림이나 상처가 생겼을 경우 즉시 소독하는 등 예방조치를 철저히 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