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반지하 매입임대 세대 재난대응 강화…침수 예방 교육·모니터링 확대
지상 이전 지원과 침수 방지시설 설치 완료 가구별 맞춤 교육·취약세대 집중 관리 ‘재난관리 플랫폼’ 구축해 실시간 대응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매입임대주택 반지하 세대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종합적인 재난 예방 대책을 추진한다.
LH는 침수 피해 우려가 큰 반지하 세대를 대상으로 지상층 이전을 지원하는 ‘주거상향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침수 대비 시설물 점검을 지속해왔다. 2023년에는 전체 반지하 세대에 차수판과 침수경보장치 등 방지시설 설치를 완료했고, 매입임대 반지하 1810호 중 1082호(59.8%)의 지상 이주를 지원했다.
최근 기후 변화로 도심 내 기습 폭우가 빈번해짐에 따라 LH는 재난 대응 체계를 한층 고도화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반지하 세대 입주민을 대상으로 ‘일대일 가가호호 침수 대응 교육’을 실시해 △침수 시 대피요령 △차수판 등 침수방지시설 관리법 △비상연락망 활용 방법 등을 안내했다. 특히 거동이 불편하거나 고령자가 거주하는 재난 취약 세대에 대해서는 집중 모니터링을 통해 대응력을 높이고 있다.
LH는 지역 주거행복지원센터와 통장 등과 협력해 호우 특보가 발령되면 즉시 순찰을 진행하고, 현장 점검에서 침수 징후가 확인되거나 입주민이 요청할 경우 지역 대피시설이나 숙박시설로 이동을 지원한다.
또한 ‘재난관리 플랫폼’에 반지하주택 위치정보를 등록해 극한 호우 발생 시 위험 가구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지난달 경기도 고양시에서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을 때는 매입임대 반지하 세대 10곳에 대해 양수 작업과 긴급 대피를 지원하며 인명 피해를 막았다.
이상조 LH 스마트건설안전본부장은 “기후 변화로 침수 위험이 커지고 있는 만큼 입주민 보호를 위한 안전관리 대책을 강화했다”며 “LH 임대주택에 더욱 촘촘한 주거 안전망을 마련해 누구나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