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특검에 자진 출석…“평양 무인기 투입 외환 혐의 집중 조사”
체포영장 집행 앞두고 임의 출석 의사 밝혀 특검 “외환 의혹 중심으로 조사…추가 조사 필요성 낮아” “드론작전사령부 북한 무인기 투입 지시 여부 핵심 쟁점”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외환 혐의를 받고 있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15일 내란 특별검사팀의 조사를 받기 위해 자진 출석했다. 북한 평양에 무인기를 투입한 작전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기 위한 것이었는지가 핵심 조사 대상이다.
법조계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 30분께 서울구치소에서 출발해 서울고등검찰청 청사에 도착했다. 사복으로 갈아입은 윤 전 대통령은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의 소환조사에 응했다.
특검은 지난달 24일 윤 전 대통령에게 외환 혐의 관련 첫 출석을 요구한 뒤, 같은 달 30일 2차 출석을 요청했지만 윤 전 대통령은 “구치소 방문조사만 응하겠다”며 불출석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특검은 이달 1일 체포영장을 발부받았고, 이날 오전 8시 집행을 예고했다.
그러나 교도관이 오전 7시 30분경 체포영장 발부 및 집행 사실을 통보하자 윤 전 대통령이 스스로 “임의 출석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며 자진 출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체포영장의 유효 기간은 오는 17일까지다.
박지영 내란 특검보는 “교도소의 집행 준비 상황과 재판 일정을 고려해 이날 집행하기로 했다”며 “윤 전 대통령이 조사 중 귀환을 원할 경우, 교도관을 통해 언제든 영장을 재집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조사는 박향철 부장검사와 문호섭 검사가 담당했으며, 윤 전 대통령 측에서는 김홍일·배보윤 변호사가 입회 의사를 밝혔다. 특검은 이번 조사에서 외환 혐의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며 “질의가 마무리되면 추가 조사는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특검은 지난해 10~11월 드론작전사령부가 평양 등 북한 지역에 무인기를 투입한 작전이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명분을 만들기 위한 지시였는지를 집중 수사하고 있다. 아울러 윤 전 대통령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김용대 전 드론작전사령관, 이승오 전 합참 작전본부장 등과 공모했는지 여부도 핵심 쟁점으로 보고 있다.
한편 윤 전 대통령 측은 이날 출석 배경과 관련해 “지난 김건희 특검의 체포영장 집행 당시 구치소 직원들이 겪은 어려움을 윤 전 대통령이 잘 알고 있었다”며 “공무원들의 부담을 덜기 위한 결정으로 자진 출석을 선택한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