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외국인투자 18% 감소…美 관세·M&A 위축·환율상승 ‘복합 영향’
FDI 신고액 206억5000만달러·도착액 112억9000만달러 기록 제조업 투자 위축, 서비스업은 AI·유통 중심 증가세 유지 산업부 “역기저효과·통상불확실성·환율 상승이 복합 작용”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올해 3분기 누적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전년 대비 1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통상 불확실성, 글로벌 인수합병(M&A) 시장 위축, 환율 상승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2025년 3분기 누적 기준 외국인직접투자 신고액이 206억5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8.0% 감소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도착금액은 2.0% 줄어든 112억9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유형별로는 공장 신·증설을 위한 ‘그린필드형’ 투자가 6.1% 감소한 177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고, 기업 인수·합병(M&A)형 투자는 54.0% 급감한 28억8000만 달러에 그쳤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은 화공, 유통, 정보통신 업종 중심으로 58.9% 증가한 49억5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선전했다. 반면 유럽연합(EU)은 25억1100만 달러(-36.6%), 일본은 36억2000만 달러(-22.8%), 중국은 28억9000만 달러(-36.9%)로 각각 감소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투자가 전년 대비 29.1% 줄어든 87억3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특히 전기·전자(-36.8%), 화공(-13.8%) 업종에서 감소했으며, 운송기계(27.2%), 기타 제조업(93.4%) 등 일부 분야는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6.9% 줄어든 111억1000만 달러로 조사됐다. 다만 세부적으로는 업종별 차이가 뚜렷했다. 유통(20억8000만 달러, +122.5%)과 정보통신(17억9000만 달러, +25.7%)은 성장세를 보였으나, 금융·보험(41억3000만 달러, -43.6%) 분야는 크게 줄었다. 특히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센터,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로보틱스 분야의 투자가 이어지며 정보통신업 투자가 꾸준히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도착금액 기준으로는 전년보다 2.0% 줄어든 112억9000만 달러였다. 그린필드는 23.0% 증가한 82억1000만 달러를 기록한 반면, M&A형 투자는 36.5% 감소한 30억7000만 달러로 부진했다.
국가별로는 미국발 자금 유입이 29억9000만 달러로 99.7% 급증했다. 반면 EU(-41.8%)와 일본(-60.5%)의 자금 도착은 급감했다. 제조업 도착액은 25.5% 줄어든 29억7000만 달러로 감소했으나, 서비스업은 10.3% 늘어난 78억6000만 달러로 증가세를 보였다.
서비스업 내에서도 유통업(210.3%)과 정보통신업(24.1%)이 증가세를 주도했다. 산업부는 AI, 데이터센터, 자율주행 등 첨단 기술 분야 투자가 지속 확대되며 한국 산업의 기초 경쟁력에 대한 신뢰가 유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올해 3분기 외국인투자는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의 역기저효과와 미국 관세 불확실성, 글로벌 M&A 시장 둔화, 환율 상승 등이 맞물리며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보통신 중심의 AI 투자 유입은 여전히 활발해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 신뢰가 견고함을 보여준다”며 “신고된 투자 건들은 일정한 시차를 두고 정상적으로 유입되고 있는 만큼, 안정적 자본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