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8개 상임위 국감 막바지…외통위, 한미 관세협상·납치사건 후속대응 ‘도마’
외통위·정무위 종합감사로 국감 종료 국면 여야, 외교·통상 현안 두고 공방 예고 국방·산자위 현장시찰…복지위·교육위 감사 이어져
【서울 = 서울뉴스통신】 신현성 기자 = 국회가 28일 외교통일위원회를 비롯한 8개 상임위원회에서 국정감사를 이어가며 사실상 국감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외통위와 정무위는 이날 종합감사를 끝으로 올해 국정감사를 마무리한다.
외통위는 외교부와 통일부 등을 상대로 종합감사를 진행하며 최근 논란이 된 캄보디아 납치·감금 사건에 대한 정부의 후속 대응과 한미 관세협상 지연 문제를 주요 쟁점으로 다룰 예정이다. 여야는 각각 외교안보 현안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은 경주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등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 일정을 앞두고 “이번 주만큼은 정쟁을 멈추자”고 국민의힘에 제안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APEC의 성공적 개최에는 협력하겠지만 ‘무정쟁 쇼’에는 동조하지 않겠다”며 한미 관세협상에 대해 “국익과 민생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 성과를 내야 한다”고 압박했다.
정무위원회는 국무조정실과 국무총리비서실, 국가보훈부 등을 대상으로 종합감사를 진행한다. 당초 증인으로 예정됐던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APEC 최고경영자 서밋(CEO Summit) 참석 등을 이유로 증인 신청이 철회됐다.
민주당은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관련 질의를 이어가며, 앞서 밝힌 국회증언감정법 위반 혐의 고발 방침도 재차 확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의힘은 국무조정실을 상대로 검찰청 폐지 논란, 10·15 부동산 대책, 한미 관세 문제 등을 집중적으로 질의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는 농림축산식품부 종합감사를 진행하며 농업·수산 정책 전반을 점검한다. 교육위원회는 서울대학교를 대상으로, 행정안전위원회는 전북·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감사에 나선다. 보건복지위원회는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을 포함한 복지 분야 산하기관을 상대로 정책 추진 실태를 집중 점검한다.
한편 국방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각각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제주 지역을 찾아 현장시찰을 실시한다.
이날 국감을 끝으로 각 상임위는 국정감사 결과보고서 채택 절차에 돌입하며, 여야 간 막판 공방이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