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월세 1.2% 상승…주거비 부담 확산, 물가 상승세 자극
10월 서울 전월세가 전국 평균 웃돌아…지방과 격차 확대 전세·월세 동반 상승에 자가주거비포함 물가지수 2% 돌파 전세대출 규제·공급 부족 여파로 내년 4% 추가 상승 전망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10월 서울의 전·월세 가격이 동반 상승하며 주거비 부담이 커지고 있다. 부동산 시장 회복세와 대출 규제 강화가 맞물리면서 서울을 중심으로 임대료가 다시 오르는 가운데, 주거비 상승이 전체 물가에도 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5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서울 지역 전월세 가격은 전달보다 1.2% 상승했다. 전국 평균 상승률(0.8%)을 크게 웃돌았으며, 지난해(0.5%)와 2023년(0.5%) 대비 오름폭이 뚜렷하게 확대됐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상승세가 두드러졌고, 지방은 대체로 안정세를 보였다. 부산(0.0%), 대구(-0.1%), 광주(0.6%), 대전(0.3%), 충남(0.3%), 경북(0.1%), 제주(0.4%), 경남(0.5%) 등 주요 광역시는 소폭 상승하거나 보합 수준에 그쳤다.
서울의 전세가와 월세가는 각각 전년 대비 0.9%, 1.6% 상승했다. 이는 2023년(전세 0.4%, 월세 0.7%), 2024년(전세 0.0%, 월세 1.2%)과 비교할 때 상승폭이 커진 것이다. 최근 전세의 월세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임대료 전반의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국적으로도 전월세 가격이 상승세로 돌아섰다. 전국 전월세 상승률은 2022년 1.9%에서 2023년 0.5%, 2024년 0.2%로 하락세를 이어오다 올해 들어 반등해 10월 0.8%를 기록했다.
이 같은 주거비 상승은 소비자물가 상승세를 다시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가 소유 주택의 임대료 상당액까지 반영한 ‘자가주거비포함 물가지수’는 10월 2.1%를 기록해 지난해 7월 이후 15개월 만에 다시 2%를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주택 공급 부족과 ‘갭투자’ 규제 강화로 인해 내년에도 전세가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전날 열린 ‘2026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전국 전세가격이 평균 4.0%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성환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10·15 부동산 대책의 규제 강도가 높아 내년 전셋값이 다시 급등할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수도권 인기 지역은 5% 이상 상승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정부는 최근 전세대출과 보증보험 심사를 강화하는 한편, 임대차 시장 안정을 위한 대책을 검토 중이지만, 서울 중심의 전세·월세 상승세가 물가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