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장위13구역’ 재정비 10년 만에 재가동…오세훈 “잃어버린 10년 되찾겠다”
장위 재촉지구 마지막 구역 착수…총 3만3000가구 공급 예정 신속통합기획 2.0·재정비촉진사업 규제혁신 전면 적용 사업기간 18.5년→12년 단축…갈등관리·공정촉진 제도 도입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민희 기자 = 서울시가 성북구 장위13구역 재정비촉진사업을 본격 재추진하며 10년 만에 멈춰 있던 사업에 다시 속도를 붙인다. 이번 사업은 ‘신속통합기획 2.0’과 ‘재정비촉진사업 규제혁신 방안’이 처음부터 전면 적용되는 대표 사례로, 장위 재정비촉진지구의 완성 시기를 앞당기는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장위13구역은 장위뉴타운 내 마지막 정비촉진구역으로 약 6000세대 규모의 주택이 새로 공급될 예정이다. 해당 구역까지 정비사업이 본격화되면 장위 재촉지구 전체에서는 총 3만3000가구가 새롭게 공급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6일 장위13구역 주민간담회에 참석해 “사업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기 위해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모든 제도와 규제혁신을 동원하겠다”며 “신속하고 실질적인 재정비 추진으로 주민들이 잃어버린 10년을 되찾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에는 △기존 용적률 최대 30% 완화 △법정 상한용적률의 최대 1.2배 적용 △사업성보정계수 도입 등 시가 지난 7월 발표한 ‘재정비촉진사업 규제혁신 방안’이 종합적으로 적용된다. 특히 신속통합기획 2.0을 도입해 평균 18.5년이 걸리던 사업 기간을 12년 수준으로 단축할 계획이다.
또한 서울시는 표준처리기한제 도입, 공정촉진책임관 지정 등을 통해 사업 추진의 효율성을 높이고, 갈등관리책임관 제도를 운영해 조합 내부나 주민 간 갈등으로 인한 정비사업 지연을 예방한다는 방침이다.
오 시장은 “뉴타운, 도시재생 등 각종 정책 변동 속에서도 장기간 정비사업을 기다려온 장위13구역 주민들에게 서울시가 속도감 있는 행정으로 응답할 때”라며 “신속통합기획과 규제혁신을 통해 재개발·재건축의 새로운 성공 모델을 만들고, 최근 10·15 대책으로 인한 시장 불안을 잠재우는 한편 대정부 건의와 국회 협력을 통해 사업 추진 동력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이번 장위13구역 사업을 신속통합기획 2.0의 핵심 시범사업으로 삼고, 향후 서울 전역의 정비촉진지구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