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차기 CEO 경쟁…지원자 33명으로 확대, 외부 자문단 서류평가 돌입
총 33명 후보군 확정…현대차 추천 없어, 외부 전문가 자문단 평가 진행 숏리스트 공개 여부 관심…투명성 강화 요구 속 외부 심사 비중 커져 차기 CEO 역량은 신뢰 회복·보안 체계 재정비·AI 전략·지배구조 개선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KT가 차기 대표이사 선임 절차를 본격화한 가운데, 총 33명이 후보군으로 참여하며 경쟁이 한층 치열해졌다.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이추위)는 4일부터 16일까지 공개 모집과 사내 후보, 전문기관 추천 절차를 거쳐 총 33명을 후보로 확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2023년 김영섭 대표 선임 당시 27명보다 6명 증가한 규모다.
이추위는 사외이사 8명 전원으로 구성돼 있으며, 이번 후보군 중 주주 추천 인사는 포함되지 않았다. 특히 KT 1대 주주인 현대자동차그룹(8.07%)이 경영 불개입 방침을 유지하면서 주주 추천 후보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추위는 심사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업경영·산업·리더십·커뮤니케이션 분야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인선자문단을 운영한다. 자문단은 후보 서류를 평가해 의견을 제출하고, 위원회는 이를 참고해 면접 대상자 숏리스트를 압축할 예정이다. 다만 자문단 구성은 공정성 확보 차원에서 비공개로 유지된다.
관심은 숏리스트 공개 여부에 쏠린다. KT는 과거 '밀실 선출'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2019년 구현모 대표, 2023년 김영섭 대표 선임 과정에서 면접 대상자 명단을 공개한 사례가 있다. 이번에도 투명성 논란을 고려해 공개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후보자로는 김태호 전 서울도시철도공사 사장, 박윤영 전 KT 사장, 이현석 KT 부사장, 주형철 전 대통령비서실 경제보좌관 등이 거론된다.
KT가 제시한 차기 대표의 핵심 역량은 기업경영 경험, 기술·산업 전문성,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글로벌 리더십 등이다. 특히 최근 무단 소액결제 해킹 사고로 무너진 고객 신뢰를 회복할 능력이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꼽힌다.
이번 사고로 인한 피해 설명이 여러 차례 수정되며 신뢰도 하락이 가속된 만큼, 차기 대표는 사고 원인 정리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이 최우선 과제가 된다. 아울러 위약금 면제에 따른 고객 이탈 가능성,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과징금 리스크 등도 관리해야 한다.
5년간 1조원 규모의 보안 투자 계획을 내실 있게 추진하는 실행력도 핵심 역량으로 거론된다. 더불어 조직 안정화, 내부 사기 회복, 인공지능(AI) 기반 전략의 조정 등도 새 CEO가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될 전망이다.
KT를 둘러싼 또 하나의 구조적 문제인 지배구조 개선 역시 중요한 평가 요소다. 특정 지배주주가 없는 구조 탓에 정권 교체기마다 검찰 수사와 대표 교체가 반복되며 리더십 불안정성이 지적돼 왔다.
이추위는 연내 최종 후보 1인을 선정해 이사회에 보고할 계획이며, 최종 선발자는 내년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확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