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대의원·권리당원 ‘표 등가’ 본격 추진…의견 수렴 투표 개시로 당원주권 강화 속도

권리당원 의견 묻는 투표 돌입…반영 비율 1대1이 핵심 ‘전당원 투표’ 혼선 후 공지 수정…절차 논란도 대의원제 사실상 무력화 우려…지역 대표성 문제 제기

2025-11-19     이민희 기자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1.17, snakorea.rc@gmail.com , *재판매 및 DB 금지

= 서울뉴스통신】 이민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19일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반영 비율을 1대1로 맞추는 당헌·당규 개정 절차에 시동을 걸었다. 정청래 대표가 강조하는 ‘당원 주권 시대’의 핵심 과제로, 권리당원 권한을 대폭 확장하는 방향의 제도 개편이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대의원제의 사실상 폐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부터 20일까지 권리당원을 대상으로 당헌·당규 개정 관련 의견을 묻는 당원 투표를 진행한다. 이번 투표는 △대의원·권리당원 1인 1표 구현 △비례대표 순위 선정 시 권리당원 100% 투표 도입 △4명 이상 출마 시 예비경선을 권리당원 100%로 치르는 방안 등이 주요 항목이다.

현행 당헌에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 투표 반영 비율이 권리당원보다 최소 20배 이상 높게 적용되도록 돼 있다. 이 규정을 삭제해 양측 비중을 동일하게 만들겠다는 것이 개정안의 핵심이다. 비례대표 공천도 기존 상무위원 선정 방식에서 권리당원 직선제로 전환되는 만큼 정당 운영 구조의 변화 폭이 상당하다.

다만 투표 공지 과정에서 ‘전당원 투표’라는 표현을 사용해 혼선을 빚었다. 전당원 투표의 경우 보통 6개월 이상 당비를 낸 권리당원에게만 자격이 부여되는데, 이번에는 10월 한 달만 당비를 낸 신규 권리당원까지 투표 참여가 가능해졌다. 당내에서는 “새로 유입된 당원의 표를 주요 의사 결정에 반영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논란이 커지자 민주당은 홍보물을 ‘전당원 투표’에서 ‘권리당원 의견 수렴을 위한 당원 투표’로 수정했다. 정청래 대표 역시 용어 사용을 자제하고, “당무위원회와 중앙위원회 논의를 거쳐 당원 주권 시대를 여는 당헌·당규 개정을 추진한다”고만 설명했다.

그러나 대의원제의 취지와 필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도 여전히 존재한다. 대의원제는 권리당원이 특정 지역—특히 호남—에 과도하게 집중돼 있는 상황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됐다. 영남·강원 등 민주당 기반이 약한 지역에서는 당원 수가 적어 권리당원 100% 반영 시 지역 대표성이 왜곡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 중진 의원은 “영남이나 강원처럼 당원이 적은 지역은 지역 의견이 희석될 가능성이 크다”며 “당원 비중 조정 자체에는 공감대가 있으나, 지금 제안된 방식은 변화 폭이 너무 급격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청래 대표는 이날 ‘험지’로 분류되는 대구에서 첫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현장 소통에 나선다. 대구시당에서의 회의 후 지역 기업과 함께 산업·혁신 정책 간담회가 이어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