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 대출' 차주들 비상…변동형 주담대 금리 6%대 진입하며 부담 확산
시장금리·코픽스 동반 상승…주담대 금리 ‘역주행’ 고정·변동형 모두 6%대…은행권, 연말 대출총량 관리 강화 재산정 시점 맞은 차주들 월 상환액 급증…연체율도 상승세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기준금리가 내리는 국면에서도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오르는 ‘역주행’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변동형 금리가 6%대에 진입하면서, 저금리 시기에 대출을 받았던 차주들이 이자 부담 급증으로 직격탄을 맞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19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연 3.63~6.43%에 형성됐다. 변동형 금리 산정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가 △9월부터 연속 상승했고 금융채 금리 역시 큰 폭 뛰면서 주담대 금리를 끌어올렸다.
은행별로는 KB국민은행 3.93~5.33%, 신한은행 3.83~5.23%, 하나은행 4.46~5.76%, 우리은행 3.82~5.02%, 농협은행 3.63~6.43%다. 금융채 5년물을 기준으로 하는 고정형 금리 역시 최고 6%대를 넘어서며 부담을 더하고 있다.
최근 5년 만기 은행채(AAA·무보증) 금리는 △한 달 사이 2.923%에서 3.362%로 올랐고, 은행채 6개월물도 △2.561%에서 2.807%로 뛰었다. 여기에 은행의 예·적금 금리 상승 영향이 반영되며 코픽스는 지난달 신규취급액 기준 2.57%로 소폭 올랐다.
연말 가계대출 총량 규제도 금리 인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 대출 수요가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은행들이 금리를 높이는 전략을 택하면서, 대출 문턱은 더욱 높아지는 분위기다.
문제는 금리 재산정 시점을 맞은 차주들이다. 예를 들어, 2020~2021년 저금리 시기에 5억원을 연 2.50%(30년 원리금균등)로 빌렸던 차주는 올해 금리가 약 4.12%로 오를 경우 월 상환액이 197만원에서 242만원가량으로 뛰게 된다.
대출금리 상승 여파로 연체율도 반등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가계대출 연체율은 0.45%로 전월 대비 0.02%p 상승했고, 주담대 연체율은 0.30%로 0.01%p 증가했다. 특히 서울 지역 주담대 연체율은 0.35%로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