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의사록 "12월 금리 인하 반대 우세...'다수'는 동결

'몇몇'은 경제예상대로 전개될 시 인하 의견 '참석자'가 투표권 가진 이들을 가리키는 것 아냐 0.25%P 내린 10월에도 의견 혼재 파월, 회의 후 기자회견서 "12월 금리 인하는 기정사실 아냐"

2025-11-20     권나영 기자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2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0.30, 사진=신화/서울뉴스통신, snakorea.rc@gmail.com ,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 = 서울뉴스통신】 권나영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의 '다수'가 12월 추가 금리 인하에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한것으로 19일(현지 시간) 나타났다.

이날 공개된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몇몇(several) 참석자는 경제가 예상대로 전개될 경우 12월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평가한 반면, 다수의(many) 참석자는 자신들의 경제 전망을 고려할 때 연말까지 금리를 동결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라고 의견을 제시했다.

연준 표현상 '다수'는 '몇몇'보다 많은 수를 의미해 12월 추가 인하에는 반대 기류가 우세했음을 시사한다.

다만 '참석자'가 투표권을 가진 이들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회의 참석자는 19명이지만 투표권은 이 중 12명만 가져, 투표권자들의 입장이 어땠는지는 불분명하다.

위원들은 10월 회의에서도 금리 인하를 두고 의견이 분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3.75~4%로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지만, 금리 인하를 두고 분열됐고 노동시장 침체와 인플레이션 고착화 중 어떤 것이 더 경제에 큰 위협인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렸다고 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12월 금리 인하는 기정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파월 의장 발언 전까지 투자자들은 12월 9~10월 FOMC 회의에서 추가 금리 인하가 거의 확실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이날 오후 기준 그 기대는 3분의 1 미만으로 낮아졌다.

회의록에선 "대다수 참석자"가 향후 추가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봤지만 반드시 12월일 필요는 없다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위원들은 '노동시장 둔화'와 '2% 목표치로 안정적으로 회복될 조짐이 거의 보이지 않는 인플레이션'에 우려를 표했다.

의사록은 "이같은 배경에서 다수는 이번 회의에서 금리 인하를 지지했고, 일부는 인하를 지지하되 동결에도 동의할 수 있다고 했으며, '몇몇'은 인하에 반대했다"고 밝혔다.

논쟁의 핵심의 현재 통화 정책이 경제 얼마나 제약적(restrictive)인지에 대한 의견 차이였다. 일부는 0.25%포인트 인하로도 정책이 여전히 성장을 억제하고 있다고 생각한 반면, 다른 이들은 '경제 활동 탄력성'을 근거로 정책이 충분히 제약적이지 않다고 판단했다.

공개 발언을 기준으로 보면 스티븐 미랜, 크리스토퍼 월러, 미셸 보우먼 이사는 '비둘기파'로, 노동시장 약화를 막기 위해 더 많은 인하를 선호한다. 반면 제프리 슈미트(캔자스시티), 수전 콜린스(보스턴), 알베르토 무살렘(세인트루이스) 등 지역 연준 총재들은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을 위해 인하에 신중해야 한다는 '매파' 성향을 보이고 있다.

그 사이에서 파월 의장과 필립 제퍼슨 부의장, 존 윌리엄스 뉴욕 연준 총재는 보다 '인내심 있는 접근'을 강조하는 중도파로 분류된다.  

의사록은 1명이 과감한 0.5%포인트 인하를 선호했다고 했는데, 미랜 이사를 가리킨다. 반면 슈미트 총재는 인하 자체를 반대해 반대표를 던졌다.

의사록은 44일간 지속된 연방정부 최장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으로 정부 데이터가 부족해 의사 결정이 복잡해졌다고 지적했다. 노동시장, 인플레이션, 기타 지표가 이 기간 동안 작성되지 않거나 발표되지 않았다. 파월 의장은 이 상황을 "안개 속 운전"에 비유하기도 했다.

대차대조표와 관련한 논의도 언급됐다. FOMC는 12월부터 국채 및 주택저당증권(MBS) 축소를 중단하기로 합의했다.

이 과정으로 대차대조표 규모는 2조5000억 달러 이상 줄어든 상태이며, 현재 약 6조6000억 달러 수준이다. 양적 긴축(QT)으로 알려진 이 과정의 중단에 대해선 광범위한 동의가 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