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추가 상승 기대 확산…매매 대신 ‘증여 선택’ 늘어나는 강남권
강남3구 중심으로 증여 급증…서울 전체의 3분의 1 차지 보유세·양도세 부담 속 “팔 바엔 자녀에게” 흐름 뚜렷 세제 개편·공급 부족 우려가 ‘부의 대물림’ 가속 요인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 정부 규제가 이어지는 가운데 주택 매매시장이 얼어붙자 자산가들 사이에서 매매 대신 증여를 선택하는 흐름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특히 집값이 더 오를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면서 고가 주택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부의 대물림’이 활발해지는 양상이다.
서울 집합건물 증여는 올해 1~10월 6718건으로 집계됐으며, 그중 강남구가 572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양천구 481건, 송파구 450건, 서초구 430건 순이었다.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3구의 증여는 전체의 21.6%를 차지하는 1452건이며, 목동이 포함된 양천구까지 더하면 서울 증여의 약 3분의 1이 네 곳에서 발생했다.
증여 건수는 월별로도 꾸준히 증가했다. 강남구는 △1월 24건 △4월 49건 △7월 66건 △10월 65건으로 늘었고, 송파구도 △1월 27건에서 △10월 55건으로 증가했다. 서초구 역시 △1월 27건에서 △7월 50건, △10월 53건으로 상승 곡선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이 정부의 세금 강화 기조 속에서 보유와 매매 모두 부담이 커진 결과라고 분석한다. 보유하면 종합부동산세·재산세 등 부담이 커지고, 매도하면 양도세가 만만치 않다 보니 “차라리 자녀에게 미리 물려주자”는 판단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내년 5월 종료가 예상되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도 증여 급증 요인으로 꼽힌다. 집값이 더 오르기 전에 증여하는 것이 종부세 중과 회피와 양도세 절감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보는 분위기가 형성됐다는 것이다.
권대중 한성대 경제·부동산학과 교수는 “주택 공급 부족에 대한 불안과 규제 정책이 맞물리면서 상급지 중심으로 가격 상승 기대가 강해지고 있다”며 “차라리 현 시점에 낮은 가격으로 자녀에게 넘기고 증여세를 내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