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정수장은 어떤 모습?…서울시, ‘AI시대 상수도 혁신’ 심포지엄 개최
시민 누구나 참석 가능… 현장에서 질문하고 의견 나눌 수 있는 종합토론도 마련
【서울 = 서울뉴스통신】 송경신 기자 = 서울시가 AI 기술을 활용한 상수도 혁신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서울시는 24일 오후 1시 30분부터 서울아리수본부 5층 대강당에서 ‘AI시대, 상수도 혁신을 말하다’를 주제로 ‘2025 서울워터 심포지엄’이 개최한다고 밝혔다.
서울워터 심포지엄은 서울물연구원이 1991년부터 매년 주관해 온 상수도 분야 전문 학술행사로, 연구 성과와 새로운 기술·정책 흐름을 한눈에 접할 수 있는 상수도 분야 대표 행사다.
최근 기후 변화, 신종 유해물질의 등장, 인력 고령화 등으로 상수도 분야의 관리 난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AI 기술이 새로운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해 AI 기술을 상수도 분야에 어떻게 적용할지 논의한다.
시는 AI 기반 정수장 구축과 공정별 실증 연구를 통해 상수도 분야에서 AI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연구 성과와 사례를 공유하고 전문가·참여자 의견을 수렴해 향후 'AI 정수장' 운영 모델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심포지엄에서는 한국상하수도협회,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단국대, K-water연구원, 서울물연구원 등 5명의 전문가가 AI 정수장 구축, 지자체 AI 도입 사례, 상수도 공사 안전, 디지털 전환 전략 등 핵심 이슈를 발표한다. 이어지는 종합토론에서는 상수도 AI 전반을 놓고 심도 있는 논의와 질의응답이 진행된다.
이번 행사에는 상수도 전문가와 종사자, 관련 학과 대학생 등 14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며, 상수도 관계자가 아니더라도 관심 있는 시민은 별도의 예약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윤희천 서울물연구원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산업·사회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AI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최고 상수도 전문가들과 상수도 분야의 AI 적용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할 수 있는 자리”라며 “심포지엄에서 제시된 다양한 의견을 토대로, AI 기반 상수도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