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산업 AI 전환 본격화…"AI 인재·기술·기업 연결 생태계 구축"
AX혁신센터·AI대학원 협의체 출범...'완결형 전환 플랫폼' 가동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민희 기자 =서울시가 산업, 대학, 연구, 스타트업이 함께 하는 서울형 산업 AI 전환 생태계의 가동을 본격화했다.
시는 25일 서초구 우면동에 위치한 서울AI허브에서 '서울 산업 AX 혁신센터'와 '서울 AI 혁신협의회'를 출범시키며 제조와 물류·콘텐츠 산업을 중심으로 인공지능(AI) 전환을 꾀한다는 계획이다. 전문 인력난과 고비용 인프라 부담으로 AI 도입이 막혀온 중소기업에 실행 가능한 지원 체계를 제공한다.
새로 문을 연 AX 혁신센터는 기업의 전환 수요를 연중 접수해 공정과 데이터 현황을 진단하고 맞춤형 로드맵을 제시하는 원스톱 허브로 운영된다. 수요기업–공급기업 매칭, 산학 컨소시엄 구성, 기술검증(PoC) 설계, 현장 실증까지 전 과정을 지원한다. 자체적으로 AI 인력과 인프라를 갖추기 어려운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제 기술 적용까지 이끄는 실행 중심 체계를 만들었다는 설명이다.
서울 주요 10개 대학 AI·융합대학원이 참여하는 '서울 AI 혁신협의회'도 같은 날 출범했다. 대학이 보유한 최신 연구 성과와 고급 AI 인력, 산업별 전문가 풀을 산업 현장에 연결하는 역할이다.
컨설팅 자문과 문제 정의, 공동 연구, 실증 지원 등을 통해 AX 혁신센터의 현장 실행을 뒷받침하는 두뇌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써 대학–산업 AX센터–서울AI허브를 잇는 3단 구조의 AI 전환 거버넌스가 완성됐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서울시는 올해 AX 지원사업을 통해 건설, 제조, 출판, 콘텐츠 등 20곳의 실증을 마쳤다. 건설 스타트업 피아스페이스는 추락과 화재, 안전장비 미착용 등을 실시간 감지하는 비전언어모델(VLM)기반 안전관제 시스템을 구축해 기존 수동 모니터링 체계를 AI 중심 예방 구조로 전환했다.
시는 기술 도입 중심이 아닌 문제 해결 중심의 전환 모델을 확립했다는 평가 속에, 실증 결과를 산업별 전환모델과 적용 가이드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AX 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상시 컨설팅 체계를 강화하고 전문 자문단과 공급기업 풀을 확대한다.
오세훈 시장은 "AI가 사람을 위해 작동하고 산업이 사람을 향해 혁신되는 지능형 도시 모델을 완성해 'AI로 미래를 주도하는 서울'을 구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