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년 만의 ‘노동절’ 부활…정부, 2026년 유공자 포상 계획 발표

노동절 명칭 변경 이후 첫 포상…전 근로계층으로 대상 확대 플랫폼·영세사업장·특고 등 숨은 노동자에 포상 문호 개방 상위 훈격 확대·공개 검증 절차 강화…내년 5월 노동절에 전수

2025-11-26     최정인 기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 9월 11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인증식 겸 2025 일자리창출 지원 유공 정부포상 수여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2025.09.11) / 사진 = 고용노동부 제공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고용노동부가 26일 ‘2026년도 노동절 정부포상’ 계획을 공식 발표하고, 다음 달 26일까지 한 달간 포상 후보자 추천을 받는다.

노동절 정부포상은 1975년부터 매년 이어져 온 행사이지만, 내년부터는 명칭이 ‘근로자의 날’에서 62년 만에 다시 ‘노동절’로 바뀌면서 의미가 더욱 커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는 노동절의 취지에 맞춰 실제 일터 곳곳에서 묵묵히 현장을 지켜온 다양한 노동자들을 포상 대상에 적극 포함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플랫폼 노동자, 특수형태근로종사자, 프리랜서 종사자, 소규모 영세사업장 근로자, 청년·여성·장애인 등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에서 일해온 이들을 ‘숨은 유공자’로 정의하고 포상 문호를 대폭 넓히기로 했다.

포상 심사는 △일자리 환경 개선 및 생산성 향상 △노사 상생문화 기여 △지역사회·일터 공헌도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고용노동부는 포상의 상징성과 위상을 높이기 위해 훈장·포장·대통령표창 등 상위 훈격의 포상 비중 확대를 관계 부처와 논의 중이다.

후보자 추천은 사업장 소재지 관할 지방노동관서의 노사상생지원과 또는 근로개선지도과로 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접수 후 결격사유 조회와 공개 검증 과정을 거쳐 최종 공적 심사가 진행되며, 선정된 수상자는 내년 5월 1일 노동절 기념식에서 정부포상을 받게 된다.

세부 절차 및 제출 서류 등 자세한 내용은 고용노동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