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고속버스터미널 입체복합개발 본격화…서울시, 사전협상 착수
노후 터미널 지하 통합·현대화…도심 속 미래융합교류거점 조성 공공기여로 교통체계 대대적 개선…한강 접근성 강화
【서울 = 서울뉴스통신】 송경신 기자 = 서울시는 서초구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부지(146,260.4㎡)를 사전협상 대상지로 선정하고 민간사업자 신세계센트럴과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제안한 대규모 입체복합개발 계획에 대한 사전협상에 본격 착수한다고 26일 밝혔다.
해당 부지는 한강 이남 유일의 3·7·9호선 트리플 역세권으로 뛰어난 도심 접근성과 한강변 입지로 인해 개발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1970년대 경부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국가 교통거점으로 자리매김했고, 2000년대 센트럴시티 복합개발을 통해 업무·숙박·상업·문화 기능을 갖춘 강남 중심 생활·문화 공간으로 발전해왔다.
그러나 50년에 가까운 노후 건축물과 부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차공간으로 인해 보행 단절과 도시 슬럼화가 발생하고, 고속버스 진·출입으로 인한 교통체증, 대기오염, 소음 등 교통공해 문제가 지속돼 왔다.
또한 3·7·9호선과의 비효율적인 동선 체계 등 구조적 한계가 누적돼 안전·환경·편의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민간사업자가 제출한 개발계획(안)은 경부·영동·호남 고속버스터미널을 지하로 통합·현대화하고 지상부에는 업무·판매·숙박·문화·주거를 결합한 입체복합개발을 조성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공항–한강–전국을 잇는 ‘미래교통플랫폼’ 구축 △글로벌 기업과 미래 혁신산업을 담는 ‘신성장 산업 허브’ 조성 △서울 대표 녹지축·문화축을 연결하는 ‘녹지문화거점’ 마련 등 글로벌 미래융합교류거점 조성을 목표로 한다.
또한 공공기여를 활용해 고속버스 지하직결차로를 신설해 지상 교통량을 줄이고 주변 연결도로를 입체화·지하화해 교통체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여기에 한강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입체보행교 등 보행 인프라 확충도 포함된다.
서울시는 이러한 개발계획(안)이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광역교통개선, 지역 필요시설 반영, 지역균형발전 방안 등을 사전협상 과정에서 함께 논의해 구체화할 예정이다.
사전협상에서 마련된 개발계획(안)은 향후 민간사업자가 도시관리계획 변경 입안과 건축 인허가 절차를 밟으며 최종 확정된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입체복합개발은 단순한 재건축을 넘어 도심 공간을 효율적으로 입체화하는 도시 패러다임 전환의 계기가 될 것”이라며 “국제교류복합지구·강남 도심(GBD)·여의도(YBD)·용산 국제업무지구를 연결하는 글로벌 핵심거점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