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예금 인출 행렬…일부 지점선 1시간 대기
감독 부족 지적도…“금융당국이 살펴야”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새마을금고 화도·호평 지점에 합병공고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사진=독자 제공)2023.07.05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새마을금고 화도·호평 지점에 합병공고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사진=독자 제공)2023.07.05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금고가 한산하긴 한데 전화는 계속와요. 다 그거 관련이죠. 연체율”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새마을금고 지점, 고객 1명이 의자에 앉아서 서류를 작성하는 가운데 중년의 직원이 말했다. 그는 “고객 대부분은 최근 상황(연체율 증가)과 관련된 보도를 보고 불안해서 연락을 한다”며 “예금한 돈이 안전한지 확인받고 싶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6%대에 올라서면서 이로 인한 고객들의 불안감도 가중되고 있다. 일부 지점에선 연일 예금을 찾고자 방문한 고객들이 몰려 대기시간이 장기화되는 상황까지 발생했다.

6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의 관리·감독 부처인 행정안전부는 금융감독원 및 예금보험공사 등과 함께 10일부터 다음 달 11일까지 5주간 총 100개 금고를 대상으로 합동 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이에 새마을금고의 예·적금에 가입한 고객들의 불안도 늘었다. 전날 서울 내 지점들은 오전 시간대에는 약 1~2명 정도의 고객만 방문하는 등 한산한 모습을 보였지만 점심시간이 되자 인근 직장가에서 문의나 상담을 위해 고객들의 방문이 이어졌다.

서울 중구 내 지점을 찾은 지난해 취업한 직장인 김모씨(31)는 “늦게 취업을 한 만큼 자금을 열심히 모으려고 이자율 높은 은행을 틈틈이 비교해서 예금을 들었는데 이렇게 됐다”며“불안해서 점심도 거르고 (지점에) 찾아왔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최근 남양주 동부새마을금고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인수합병 절차에 들어간 경기도 지역의 경우 불안감도 심화됐다. 앞서 같은 날 이 지점을 방문한 사회초년생 남모씨는 “오후 2시 반께인데도 대기인원이 26명이나 있어 1시간 넘게 기다렸던 것 같다”며“상담을 받는 내내 창구 뒤편으로 전화가 계속 왔다”고 방문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지난해 9월 경기도 남부 모 지점에 적금을 들었다는 직장인 한모씨(26)도 “5천만원까지 예금 보호가 된다면서 안심하라고 하지만 그 말을 들을수록 불안한 기분”이라며 “지금은 서울에서 직장을 다녀 지점을 방문할 수도 없어서 전화를 걸어서 문의해볼 예정”이라고 하소연했다

관리·감독 부처인 행안부는 합동 점검 대상 100개 새마을금고 중 연체율이 10%를 웃돌고 부실 위험이 큰 30개는 특별검사를, 연체율이 평균보다 높은 70개는 특별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 관계기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합동 브리핑을 열고“연체율 관리가 충분히 가능한 수준”이라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한창섭 행안부 차관은 “현재 관계기관 합동으로 ‘범정부 위기대응단’을 구성해 새마을금고 예수금 동향을 밀착 모니터링하고 위험요인에 대해 적극 논의‧대응하고 있다”며“우려가 크다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된다. 연체율은 충분히 관리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한 차관은 또 “금고 창설 60년 역사 이래 크고 작은 위기는 있었지만, 고객의 예금을 지급하지 못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며“새마을금고의 지급여력은 충분하다”고 밝혔다.

지난 5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상환준비금 등 총 77.3조원을 보유하고 있고 예금자보호준비금도 2.6조원 보유하고 있다.

행안부의 관리감독 기능이 금융당국에 비해 부실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당국으로 감독체계를 일원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새마을금고는 금융기관인데 금융당국이 아니라 행안부에서 관리하다보니 금융기관으로서의 관리감독이 제대로 될 수 있겠냐는 지적이 이전부터 나왔다”며 “이전에도 부실대출이나 연체율 등 부실화 가능성이 제기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금융감독기관이 직접 컨트롤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해법이라고 본다”면서 “새마을금고가 비교적 리스크가 큰 대출을 다루는 점을 고려하면 금융감독기관이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