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3년도 출생·사망 통계 발표
OECD 회원국 중 출산율 1명 미만 유일…4분기 출산율 0.7명 무너져
작년 출생아수 7.7% 줄어든 23만명

8년 연속 우리나라는 출생아 수가 줄어든 가운데 지난해는 출생아 수가 처음으로 23만명 대로 떨어졌다. (신생아실) / 사진 = 서울뉴스통신 DB
8년 연속 우리나라는 출생아 수가 줄어든 가운데 지난해는 출생아 수가 처음으로 23만명 대로 떨어졌다. (신생아실) / 사진 = 서울뉴스통신 DB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8년 연속 우리나라는 출생아 수가 줄어든 가운데 지난해는 출생아 수가 처음으로 23만명 대로 떨어졌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출생·사망통계(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명으로 전년(24만9200명)보다 1만9200명(-7.7%) 감소했다.

현재 출산율 감소세가 가파르다는 점이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지난해 0.72명을 기록한 합계출산율은 올해 0.6명대로 더욱 떨어질 전망이며,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는 5명(4.5명)이 채 되지 않았다.

2015년 이후부터 최근 10년 동안 2015년(0.7%)을 제외하고 매년 감소 추세를 보인 것이다. 2013년 43만6000명을 넘던 출생아 수는 감소세를 지속해 10년 만에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합계 출산율은 0.72명이다. 2018년 처음으로 1명(0.98명) 밑으로 떨어진 뒤 5년 만에 0.3명 가까이 더 줄어든 셈이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조출생률은 4.5명으로 전년보다 0.4명 감소해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시도별 합계출산율은 세종·전남(0.97명)·강원·충북(0.89명) 순으로 높고, 서울(0.55명)·부산(0.66명) 순으로 낮았다.

충북(1.7%)과 전남(0.3%)을 제외한 15개 시도 모두 합계출산율이 전년보다 감소했다. 전년대비 광주(-16.4%)·세종(-13.2%) 순으로 감소했다. 특히 세종은 2022년 1.12명을 기록했으나 지난해 두 자릿수 감소를 보이며 1명 이하로 떨어졌다.

신생아 / 사진 = 서울뉴스통신 DB
신생아 / 사진 = 서울뉴스통신 DB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합계 출산율이 1명을 밑도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 한국의 한계 출산율은 2021년 기준으로 OECD 평균(1.58명)의 절반 수준이다. 한국 다음으로 출산율이 저조한 스페인(1.19명)과의 격차도 상당하다.

아이를 낳는 여성의 나이는 갈수록 늘어 지난해 출산한 엄마의 연령은 33.6세로 전년보다 0.1세 상승했다. OECD 평균인 29.7세보다 4살 가까이 출산이 늦다.

갈수록 아이를 늦게 낳게 되면서 첫째아 평균 출산연령은 33.0세, 둘째아는 34.4세, 셋째아는 35.6세로 전년보다 0.1~0.2세 높아졌다. 13만8300명으로 전년보다 6700명(-4.6%) 감소했다. 둘째아는 7만4400명, 셋째아 이상은 1만7300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9500명(-11.4%), 2900명(-14.5%) 줄었다.

첫째아의 비중은 60.1%로 전년보다 1.9%포인트(p) 증가했다. 둘째아의 비중은 32.3%, 셋째아 이상의 비중은 7.5%로 전년보다 각각 1.4%p, 0.6%p 감소했다.

엄마 연령별 출생아 수는 전 연령층에서 감소했다. 20대 후반(25~29세) 산모의 출생아 수는 4900명 줄었고, 30대 초반(30~34세)은 8199명, 30대 후반(35~39세)은 5300명 줄었다.

통계적으로 35세 이상은 고령 산모로 집계한다. 이를 기준으로 고령 산모 비중이 36.3%로 역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12년 이 비중이 18.7%에 불과했던 것을 감안하면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셈이다.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한 시민이 유모차를 밀고 지나가고 있다. / 사진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한 시민이 유모차를 밀고 지나가고 있다. / 사진 =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통계청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장래인구추계:2022~2072년'를 보면 출생아 수는 2025년 22만명 수준으로 줄어들고 2072년에는 16만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악의 시나리오(저위 추계)를 보면 2072년 출생아 수는 9만명대까지 내려간다.

합계출산율은 가장 중립적인 중위 시나리오에서 지난해 0.72명에서 올해 0.68명, 내년 0.65명까지 내려가 바닥을 찍을 것으로 예상됐다. 저위 시나리오에서는 2026년 0.59명으로 0.6명마저 무너질 것으로 예상됐다.

실제로 지난해 4분기 합계출산율은 0.65명으로 1년 전보다 0.05명 감소하며 0.70명선마저 붕괴됐다. 사상 첫 0.6명대 분기 출산율이다. 4분기 출생아 수는 5만2618명으로 1년 전보다 3905명(6.9%) 줄었다. 지난해 12월 출생아는 1만6253명으로 1년 전보다 643명(3.8%) 감소했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장래인구추계 쪽에서는 올해가 중위 쪽으로 해서 0.68명 정도로 보고 있어서 아마 그 전후로 수렴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출산이 좀 더 지연되거나 코로나 때 혼인 건수가 많이 낮았기 때문에 그러한 영향들이 계속해서 반영된다면 출산율이 현재보다 좀 더 낮아질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