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해각서의 핵심 내용을 보면 새로운 산업 구조로 전환하고 그동안 멈춰서 있던 용인 경전철을 재가동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 최소운영수입을 보장해 주는 MRG방식에서 실제 운영 수입이 총 민간투자의 상환 금액과 운영비의 합계액에 미달하는 경우 부족분을 보조하는 사업재구조화 방안으로 변경됐다. 국제 중재 하에 향후 본 협약에서 사업해지를 철회하기로 합의를 한 것이다. 또한 총 민간투자비는 1~2단계 국제 중재 판정에 따라 산정하기로 하고 봄바이어 트랜스포테이션코리아(주)가 3년간 위탁하기로 합의했다.
용인시는 사업 재구조화 추진으로 기존 MRG방식 하에서의 30년간 재정지원금 약 3조4천 억원이 1조8천억 원으로 감소해, 약 1초6천억 원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가 직접 요금 결정권을 주도, 수도권 환승 할인 등 다양한 요금 정책 실행이 가능해졌고 개통 전 총 민간투자비의 일부를 상환해 재정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기대효과도 동시에 가져올 것으로 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시는 이러한 계획 일정을 더욱 앞당기기 위해 재협상에 혼신의 힘을 다 할 것이다"면서 "재가동 일정을 최대한 단축, 시운전과 정상화 운영 시기를 앞당길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학규 용인 경전철 시장은 양해각서 체결 후 가진 언론과의 브리핑을 통해 "시민 여러분이 시 재정 여건 악화, 경전철 개통에 따른 추가적인 천문학적 재정 부담을 간과할 수 없는 시정 상황 그리고 개통 조건으로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담보하는 시의 입장 등 정책적 결정을 안내하면서 기다려 주신 것에 대해 말로 다 할 수 없이 감사드린다"고 그동안의 심정을 표했다.
어쨌든 시민에게 교통 편의를 제공해 주는 경전철의 조기 정상화를 바란다.
손주영 기자 / snakorea.rc@gmail.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