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통신】 한국 경제의 중장기적 예방대책이 시급하다. 미국의 조기 금리 인상 가능성을 알게 하는 신호가 포착된 것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18일(현지시각) 현행 제로 금리를 유지하기로 하고 성명서에서 'patient(인내심)’라는 단어를 삭제했다. 이 단어는 연준의 금리 인상 시기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로 여겨져 왔다.

미 연준은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끝낸 후 이날 성명서에서 ‘인내심’이라는 단어를 삭제하고 “중기적으로 노동시장이 개선세를 보이면서 인플레이션률이 목표치인 2% 이하로 떨어지면 금리를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12월과 1월 FOMC 성명서에 쓰인 ‘인내심’이라는 단어의 뜻이 향후 있을 두 번의 통화 정책 회의에서 금리를 인상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따라서 이르면 6월에 올릴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연준이 올해 경제성장률 및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함으로써 9월 이후로 인상 시기가 넘어갈 것이라는 관측도 확산하고 있다. 신흥국에서는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자금유출 공포가 높아지는 등 후폭풍이 대단하다.

특히 브라질과 멕시코 등 이머징마켓 통화들은 급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글로벌 경제의 디커플링(비동조화)까지 심해질 조짐이다. 미국 경제는 실업률이 낮아지고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노동 시장 환경이 개선되는 등 경기회복이 완연한 반면 경기둔화에 가위눌린 신흥국 경제는 금리정책의 여력마저 상실해 더 깊은 수렁으로 빠져들 운명에 처했다.

한국 경제도 안심할 수 없다. 미국이 금리를 올린다고 한국은행이 바로 따라 올리지는 않을 것임을 시사한 바 있지만, 그러나 이제 환율과 자본 유출입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특히 1200조원에 이른 가계빚이 있는데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2일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1.75%로 내려 가계부채는 계속 증가추세에 있다. 우리 경제는 저물가·저성장의 덫에 걸린 데다 미국 금리가 오르면 금융 변동성이 확대될 뿐 아니라 글로벌 유동성 축소에 따라 국내 투자와 소비가 둔화될 가능성이 크다.

시중금리 상승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오르고 빚을 못 갚아 경매로 넘어가는 주택이 많아지면 부동산 가격 폭락 사태로 이어질 수도 있다.

정부의 상황별 예방대책이 시급하다. 당장 환율이 지나치게 상승하지 않도록 금융·외환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가계부채의 잠재적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정책 처방도 필요하다. 물론 경제활성화 방안 마련과 정책 시행이 근본 활로임은 두말할 나위 없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