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통신】 서울시는 '조류경보제'와 '냄새경보제'를 운영하고, 수돗물 냄새와 관련한 시민 체감도를 높이는데 역점을 두어 한강 고유 여건에 맞는 「한강조류 관리대책」을 발표, 올 여름 시민들의 불편과 피해를 최소화해 나가겠다고 24일 밝혔다.
올 여름 기온은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은 대체로 적을 것으로 기상청이 전망함에 따라 서울시는 예년보다 이른 한강 녹조 발생에 대비해 「'15년 한강조류 관리대책」을 수립, 선제적인 녹조피해 예방에 나선다.
5월 기준 누적 강수량이 예년의 60% 수준으로 심각한 가뭄까지 겹치면서 녹조가 크게 확산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녹조가 발생하면 상수원수에서 물비린내가 나고 정수처리가 까다로워 처리비용도 상승한다. 또 심할 경우엔 수중 생물폐사, 인체 접촉 시엔 피부염도 유발할 수 있다.
관리대책의 주요 내용은 ▴냄새경보제·조류경보제 운영 ▲고농도 조류에도 완벽대응이 가능한 ‘고도정수처리시설 운영’ ▲조류제거를 위한 방제장비 확보 ▲조기경보를 위한 한강상류 기관과의 협력체계 강화 등이다.
시는 조류 제거를 위한 황토 10.2톤을 확보했으며, 황토살포기도 꼼꼼히 점검하는 등 방제장비도 재정비했다. 조류경보 이상 발령시엔 한강에 황토살포를 적극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김학진 서울시 물순환기획관은 “올해 극심한 가뭄과 기온상승으로 인해 조류발생이 우려되고 있는 만큼, 철저한 사전대비로 녹조로 인한 시민피해가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며 “시민들도 조류경보 발령시엔 먹는 물은 안전하나 가급적 수영 등 물놀이는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