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여름철에는 기상관측 기록을 갱신하는 집중호우에 따른 산사태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였고, 주택침수·도로유실 등 서민생활 불편이 가중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금년 여름철에는 예상치 못한 집중호우에도 적극 대처할 수 있도록 인명피해 위험지역 특별관리, 도로침수 유실 및 낙석피해에 따른 교통통제, 24시간 상황관리 등 철저한 사전준비를 통해 한층 더 상향된 대응계획을 수립 한다.
강원도재난안전대책본부의 여름철 자연재난 대응계획 주요회의내용은 다음과 같다.
산사태 등 인명피해 우려지역 전담관리자 지정(378개소) 평상시 정기점검, 기상 특보 시 예찰·위험지역 출입통제 및 주민대피를 위한 전담관리자 복수 지정·운영(공무원, 주민, 자율방재단) ‘11년 여름철 인명피해 13명(춘천 천전리 산사태 13) 취약도로 차량통제·우회등 교통대책 통제기준(기관별 역할, 통제시기, 방법 홍보) 도로관리청과 경찰서간 사전조율(Hot-Line 사전구축) 도로통제시 CBS, SNS, 교통방송, 재난방송 도로전광판등 가용매체활용 이다.
또한 24시간 상황관리체계 운영체제로는 기상청 발표에만 의존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돌발호우에 대한 사전대처 미흡 개선. 여름철 대책기간 중 당직자와 별개로 상황관리 전담요원 지정 24시간 3교대로 상황 근무체계 운영 한다.
또 예비특보 단계부터 사전대비 근무 등 한 단계 앞선 근무실시 하고 주말·연휴기간 등 취약시간대 사전 비상근무 예고제 시행으로 상황근무반에 편성된 실무자(관련부서, 유관기관)에 대해 개인별 임무 등 근무요령 사전교육 실시한다.
예·경보시설 관리대책으로 예경보시스템 작동상태, 통신회선 송·수신 상태 등을 수시점검, 24시간 상시가동 상태 유지(주 1회 이상, 예비특보 발령시) '산사태위험지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신속한 산사태 위험예보 (주의보, 경보) 발령 체계 구축을 위한 관련부서 합동 모의훈련 실시, 국립공원 구역내 탐방객 안전확보를 위해 기상상황·위험지역 통제 등 안내방송을 위한 방송시설 정비 및 확충(국립공원) 등 이와 함께 강원도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는 호우·태풍 대비 국민행동요령(시·군 홈페이지)을 사전에 습득해 줄 것을 도민여러분께 당부했다.
snakorea.rc@gmail.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