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통신】 서울시는 전국 지방자치단체로는 최초로 재난현장에 드론을 띄운다.
고층건물 화재나 화생방 지역과 같이 구조대원이 즉시 투입되기 어려운 재난현장의 실시간 상황 파악은 물론, 산악사고, 수난사고 시 실종자 수색을 담당하게 된다.
서울시는 올해 드론 2대를 도입, 소방재난본부 119특수구조단에 배치해 8월부터 시범운영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에 도입된 드론은 1200만 화소의 영상카메라가 장착된 약 3㎏의 중급(크기 438(정면에서 본 폭길이)㎜×451(측면에서 본 폭길이)㎜×301(높이)㎜) 드론이다.
시가 도입한 드론은 ‘실시간 영상 송출시스템(MLBS)’이 탑재돼 있어 ▲재난현장을 촬영하고 ▲현장에서 드론 조정자가 휴대용 MLBS 단말기를 카메라와 연결해 ▲소방재난본부 내부시스템인 종합재난관리시스템 ‘소방안전지도’에 실시간 송출하게 된다.
이렇게 송출된 영상을 통해 현장 상황에 맞는 대응을 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드론 투입에 있어 항공운항 및 촬영과 관련된 제약사항 등을 준수하기 위해 국방부, 수도방위사령부 등 관련 기관과 협의를 완료했다.
시는 다양한 재난현장의 활용성을 검토해 내년부터는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된 공중수색용과 ▲인명구조용 구명줄·응급의약품 등을 운반 가능한 재난현장에 특화된 드론을 연차적으로 추가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권순경 소방재난본부장은 “시가 도입하는 드론은 구조대원이 접근할 수 없는 재난현장 사각지대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신속한 인명구조는 물론 재산 손실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각종 첨단 기술, 장비를 도입하고 활용해 시민 안전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