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통신】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정부·여당의 재고가 있어야겠다.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유수 대학의 교수들과 전문가들이 잇따라 중단을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어제는 연세대 교수들이 국정화 추진 중단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연세대 인문·사회분야 교수 132명은 ‘민주적 가치 함양과 창의적 교육을 거스르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한다’라는 제목의 성명에서 “현행 검정교과서는 학계 다수 통설에 입각한 것이고 교육부 지침을 거쳐 검정을 통과한 책들”이라며 “국정화를 추진하는 것은 학계의 다수 해석을 부정하고 권력의 해석을 강요하려는 시도”라고 지적했다.

정부·여당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이 정치·사회적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는 정부·여당에서 사전 의견 수렴에 소홀한 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최근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국정화 추진을 주장했다.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지난달 “교실에서부터 국민이 분열되지 않도록 역사를 하나로 가르쳐야 한다”며 “필요하면 국정화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반발도 커져가고 있다. 김자동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회장, 윤경로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상임대표 등이 참여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 저지를 위한 모임’의 대표들은 “독립운동 정신을 훼손하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제를 반대한다”고 천명하고 나섰다.

서울대 역사교수 34명도 “주변의 역사학자 중에서 역사 교과서를 국정화하는 데 찬성하는 이는 찾아볼 수 없다”며 “지금 우리나라의 역사 교육에 필요한 것은 국정교과서로 제도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역사 교과서 제작의 자율성을 좀 더 널리 허용하는 일”이라는 의견서를 냈다. 전체 역사 관련학과 교수의 77%가 의견을 모은 것이다. 앞서 전국역사교사모임 소속 교사 2255명도 성명을 내고 “정부가 공언한 하나의 역사해석을 학생들에게 주입하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한 것이다. 정부·여당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를 재고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