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보람 생활문화부 기자

식품업계가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 일제히 가격을 올리고 나섰다.
앞서 스타벅스코리아는 지난 5월 음료 32종의 가격을 300원씩 인상했고, 롯데칠성음료도 10개 품목에 대한 가격 조정했으며 하이트진로는 맥주 출고 가격을 인상한 바 있다.
서민들의 한끼 해결책인 라면의 경우, 삼양식품이 최대 10%, 팔도가 평균 6.2% 올렸고 동원F&B는 참치통조림 가격을 7.6%, 사조 또한 참치통조림은 물론 냉장 햄의 가격을 9% 인상했다.
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주요 식원자재 수입국인 미국의 밀, 옥수수 등의 가격도 무섭게 치솟고 있다. 미국 농무부가 지난 10일 발표한 수확량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옥수수 생산량이 108억 부셸로 2006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자 주요 곡물가격이 일제히 폭등했다.
이처럼 식원자재 값이 오른 것을 이유로 국내 식음료업계는 가격 인상의 정당성을 요구하고 있다. 하루가 다르게 수입 식원자재와 최근 일련의 이상기후 등으로 농수산물값이 급등했으니 가공업자 입장에서는 가격조정을 피할 수 없다는 말이다.
결국 이런 가격 인상의 부담은 고스란히 일반 소비자들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온다. 이웃에 사는 한 어머니는 한달새 식품 가격이 너무 올라 장보기 무섭다고 하소연을 할 정도다.
결국 유통업계의 검찰인 공정거래위원회가 최근 식품업계의 무더기 가격 인상의 배후를 대대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나서 다행스럽기는 하다.
공정위는 가계의 '식탁 물가'와 직결된 물품의 가격 인상을 자세히 감시해 담합 징후가 발견되면 즉시 조사에 착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공정위는 이미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까지 한꺼번에 가격 인상이 이뤄진 가공식품 품목들에 대해 전반적인 점검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져, 인상 배후에 업계들끼리 짬짜미(담합)는 없었는지 주목된다.
앞서 공정위는 물가가 급등했던 지난해에도 우유, 치즈, 라면 등 생필품 담합을 조사해 과징금을 부과, 정부 물가관리의 첨병을 했었다.
하지만 이미 오른 식품가격을 내릴 묘수도 공정위에겐 없다. 가격이 오른 뒤 뒤늦게 식품회사만 나무란다고 소비자의 부담이 줄어들 리 만무하다. 정부는 가격 담합 여부를 뒤늦게 다그치기보다, 세계적으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식량 대란을 대비해 보다 근본적인 식품가격 상승 요인을 억제할 묘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