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의원 "수출입은행 기업지원 부담 없도록 지속 청산가치 기준 검토하고, 재무건전성 불안요인 해소 및 경영회복 방안 마련해야"

【 서울 = 서울뉴스통신 】 이상숙 기자 = 양경숙의원은 KAI(한국항공우주산업)주가가 3년이상 지속하락해 24.6%의 지분을가지고 있는 1대주주인 한국수출입은행의 최초 출자액 기준 9,811억원의 대규모손실을 보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이에 수출입은행은 기업지원 부담없도록 지속 청산가치 기준을 검토하고, 재무건전성 불안요인 해소 및 경영회복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출입은행은 과거 1.7조원 상당의 한국항공우주산업(KAI)주식을 현물로 출자받아 대량 보유하고 있다. 현재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주주구성 비중은 수출입은행26.4%, 국민연금 7.2%, 하나금융투자 4.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출입은행은 KAI(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을 60,456원에 취득했지만, 주가는 3년 이상 지속 하락해 지난 16일기준 2만2350원으로 최초 출자액 기준 9811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양의원은 "코로나19 장기화로 불황은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KAI의 주가가 반등하지 않는다면, 손상차손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수출입은행은 KAI의 최대 주주이다. 하지만 미국 훈련기 수주실패 등 군수사업 부분의 부진과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업 침체로 민수사업 또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주가하락이 지속된다면 수출입은행의 재무건전성 불안요인으로 작용해 수출금융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의원은 "수출입은행은 KAI의 대주주로서 KAI 영업실적이 부진하고 회복가능성이 낮은 상황에 경영회복을 위한 적절한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면서 "수출입은행은 기업지원에 부담이 없도록 지속 청산가치 기준 검토하고, 재무건전성 불안요인 해소 및 경영회복 방안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