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북 장관급회담 한반도평화 명운이 걸린 문제다

북한이 박근혜 정부 출범이후 3개월여 기간동안 수차례걸쳐 미사일 발사 개성공단 철수 강도높은 대남비방 등 그 어느 정권때 보다 악화일로를 조장해 왔었다.더구나 개성공단 존폐여부를 놓고 박근혜 정부가 북한에 수차걸쳐 당국간 대화를 제의했으나 그럴때마다 대남공세에 열을 올렸다.

그랬던 북한이 하루아침에 돌변 지난 6일 낮 12시 조평통 대변인이 조선중앙TV를 통해 특별담화문을 발표 남북대화를 공식제안해 왔다.그것도 단순한 대화제의가 아니라 인도주의적 입장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비롯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등 제반 문제를 놓고 실무 접촉을 벌이자는 내용이다.

아직 낙관하기는 이르지만 우리정부의 오는 12일 서울에서 장관급회담. 9일 판문점 실무접촉 제안 등 대화 국면이 급전환되고 있는 분위기가 성숙해 지고 있다.이는 신뢰를 중시하는 현 정부의 대북 정책, '한반도 프로세스'가 일단 여기까지 이끌어냈다는 평가지만 '북한의 비핵화'까지 가기에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전망도 없지않다.

박근혜, 대통령은 현충일인 지난 6일 기념사에서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올바른 선택을 하면 한반도프로세스를 적극가동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하지만 북한은 비핵화라는 말만 나오면 자신들의 핵 병진 노선에 대해 이래라 저래라 하지 말라며 강하게 반발해 왔었다.

특히 조선중앙TV는 최근까지 "현 당국자가 말끝마다 우리의핵 병진 노선을 시비하고 있는데 그것은 무지와 무식을 드러내는 것으로서 자기 망신이다"고 말했다. 이러던 북한이 갑자기 우리 정부와의 대화요청에 응한것이다.

이는 물론 미국을 비롯 중국까지 우리측 대북 정책에 대해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게 큰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로봐야할 것이다. 실제로 중국 고위 관료들은 지난달 중국을 방문한 우리측 국회의원들에게 원칙과 신뢰를 강조한 정책을 높이 평가한다며 이같은 입장을 나타내기도 했다.

우리 정부의 대북 정책이 국제사회를 통해 북한을 움직였다고 볼 수 있는 대목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미국과 중국과의 미중 정상회담을 앞둔 상황에서 북한이 국제사회를 향해서 북핵 문제를 풀어가는 데에 있어서 남북관계를 풀지 않고는 어렵다는 그런 절박함 속에서 남북관계 개선에 나섰다"고 분석하고 있다.

우여곡절 끝에 박근혜 정부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첫 관문에 들어섰게 된 것이다. 앞으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가 장기적으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비핵화라는 핵심 의제에 접근하기 위한 일관된 대북 메시지 전달이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해 두고자 한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