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천·경기 등 지자체ㆍ철도 운송기관 등 회의
'지하철 정기권의 버스 환승 할인' 국정과제 선정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서울뉴스통신】 주중석 기자 = 정부가 대중교통을 주로 이용하는 청년·서민층 등의 교통비 절감을 위한 '지하철·버스 통합정기권' 도입을 추진한다.

25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서울·인천·경기 등 지자체 및 철도 운송기관 등과 관계기관 회의를 개최, 지하철·버스 통합정기권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수도권이나 인천 등 일부 지역에서는 지하철만 이용가능한 정기권이 있으나, 버스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아 지하철로만 통행하는 역세권 주민이 아니면 할인혜택을 받지 못하고 추가로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새 정부는 국민 교통비 절감을 도모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하철 정기권의 버스 환승할인 적용’을 국정과제 중 하나로 선정했고, 이를 실천하는 방안으로 지하철·버스 통합정기권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대광위는 국민들이 통합정기권을 더욱 편리하고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문 연구기관과 함께 도입방안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지하철·버스 등 대중교통을 담당하는 전국 대도시권 지자체 및 운송기관과 협의를 거쳐 지하철·버스 통합정기권의 2023년 도입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통합정기권이 도입되면, 기존 지하철 역세권 주민 외에, 지하철과 버스를 환승하는 이용객에게도 할인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국민 대중교통비 약 27~38% 가량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정호 대광위 광역교통경제과장은 “지하철·버스 통합정기권은 정부가 대중교통 정기권 서비스를 지원하는 첫 사례로서 그 의미가 크고, 대중교통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서민층·청년층의 대중교통비를 절감하는 동시에 다양한 이용자의 수요를 충족시킬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