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민주당)이 '집권 후 한·미 자유무역협장(FTA) 폐기'를 선언했기 때문이다.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은 민주당이 FTA 폐기 선언을 한 것에 대해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또 "민주통합당이 여당일때는 국익을 위해 한·미 FTA를 추진하겠다고 해놓고 야당이 되자 정반대의 주장을 하고, 이제는 선거에서 이기면 FTA를 폐기하겠다는 사람들에게 나라를 맡길 수 없다"고 했다.
민주통합당이 한·미 FTA를 결집의 명분으로 삼고 총선의 쟁점으로 부각시킴에 따라 박 위원장이 정면으로 맞받아친 것이다.
이로써 한·미 FTA는 여야 모두에게 물러설 수 없는 총선 승부처로 부상했다.
박 위원장의 주장은 "한·미 FTA는 지난 노무현 정권에서 시작됐고, 당시 대통령과 국무총리, 장관이 설득해 왔다"면서 "이 정부에 와서 마무리한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김종인 비대위원은 "한·미 FTA를 총선 이슈로 삼기엔 적절치 않다"는 의견을 제시 했지만, 박 위원장은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은 "타결 이후 금융위기가 발생하면서 과연 금융분야를 비롯한 개방이 국익을 위해 필요한 것인지 재검토할 필요가 있게됐다."고 말했다.
민주통합당은 한·미 FTA를 'MB 심판론'으로 연결시켜 야권 결집을 이끌어 내겠다는 전략을 세운것으로 보인다.
한편 13일 창당 선언을 한 국민생각 신당의 장기표 공동대표는 한·미 FTA를 지지하는 신당에 불참하겠다고 성명을 발표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민주통합당이 한미 FTA 반대를 당의 지상과제로 삼은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한·미 동행을 깨는 행위로 참으로 한심스럽다"고 지적했다.
손창섭 기자 / snakorea.rc@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