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90달러대…“이·팔전쟁에 따른 유가 추이 지켜봐야”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국제유가 급등에 9월 수입물가가 3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에 최근 국제유가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향후 인플레이션에 부담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17일 ‘2023년 9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9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15년=100)는 139.67로 8월(135.68)보다 2.9% 상승했다. 수입물가는 지난 5월(-3.1%) 4개월 만에 하락전환한 후 6월까지 2개월 연속 내렸지만, 7월( 0.2%)과 8월(4.2%) 다시 반등한 바 있다. 다만 국제유가가 급등했던 전년 동월과 비교해서는 9.6% 떨어졌다.
수입 물가 중 원재료는 광산품(6.3%)을 중심으로 5.7% 올랐다. 중간재는 석탄·석유제품(7.9%), 화학제품(2.1%) 등이 오르며 2.0% 상승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도 각각 전월 대비 0.7%씩 올랐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원유(8.8%), 나프타(9.3%), 프로판가스(18.0%), 부타디엔(26.5%), 메탄올(8.1%), 플래시메모리(5.8%) 등의 상승 폭이 컸다.

9월 수입물가지수 하락은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두바이유는 올해 9월 배럴당 93.25달러로 8월(86.46달러)에 비해 7.9% 올랐다. 전년동월대비로는 2.5% 상승했다. 수출물가 지수는 119.56로 전월대비 1.7% 상승했다. 3개월 연속 오름세다. 전년동월대비로는 8.9% 하락하며 9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유성욱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산유국들의 감산으로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광산품, 유류제품 등이 많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품목별로 보면 농림수산품은 전월에 비해 1.3% 하락했지만, 공산품은 석탄및석유제품과 화학제품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1.7% 상승했다.
계약통화기준 수출물가는 전월대비 1.1% 상승했고, 전년동월대비 4.9% 떨어졌다.
수입물가는 통상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인플레이션 완화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최근 이·팔 분쟁에 국제유가가 90달러 대 재진입하면서 물가 부담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유성욱 한은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장은 “수입물가는 국제유가 상승에, 수출물가는 원·달러 환율 오름세에 영향 받았다”면서“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이 향후 유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겠지만 추이를 지켜봐야 하고, 환율에도 변수가 많아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