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 연봉 받고 뛰어…올해 시즌 끝날 때 은퇴 이후 계획 생각”

3일 인천 SSG랜더스필드에서 기자 간담회를 하는 추신수. /사진 = SSG 랜더스 제공
3일 인천 SSG랜더스필드에서 기자 간담회를 하는 추신수. /사진 = SSG 랜더스 제공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성자 기자 =2024시즌을 마친 뒤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겠다고 선언한 추신수(42·SSG 랜더스)가 '우승'이라는 단어를 무척이나 힘줘 말했다.

추신수는 3일 오후 홈구장인 인천SSG랜더스필드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2024시즌이 끝나면 정말 은퇴한다”고 밝혔다.

2001년 시애틀 매리너스와 계약하고 미국으로 떠나며 프로 생활을 시작한 추신수는 올해를 끝으로 24년간의 프로 선수 생활에 마침표를 찍는다.

선수로 뛰는 마지막 시즌 연봉도 받지 않는다. 최저 연봉 3천만원에 2024시즌 연봉 계약을 맺었지만, 이마저도 기부한다. 2023시즌을 마친 뒤 은퇴를 고민했지만 팀과 후배들을 위해 1년 더 선수 생활을 하기로 했다.

추신수는 “2023시즌 뒤 은퇴와 현역 연장에 대한 생각이 반반이었다. 그런데 (김)강민이가 한화 이글스로 갔고, 나까지 은퇴해 두 기둥을 한꺼번에 잃으면 팀이 흔들릴 것 같았다”며“어려운 때일수록 잡아줘야 하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그는“연봉을 안 받는 것을 희생이라 생각하지 않는다”며 “한국에 금전적인 문제 때문에 온 것이 아니다. 큰 그림을 그린 것이다. 강팀이 되기 위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추신수가 그리는 마지막 시즌의 모습은 소통하는 주장으로서 팀을 이끌고, 한국시리즈 우승과 함께 은퇴하는 것이다.

주장을 맡아달라는 이숭용 감독의 요청을 받아들인 추신수는 “나이 차이 때문에 말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으면 한다. 어린 선수들 입에서 정확한 답이 나올 수도 있다”며 “문제가 생기면 뒀다가 일을 크게 만들지 말고, 빨리빨리 이야기했으면 좋겠다. 어린 선수들도 '그건 좀 아닌 것 같다'고 말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고 싶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선수들 사이에 관계, 코치와 선수 간의 관계가 편안해야 운동장에서 멋진 플레이를 할 수 있다. 후배들이 두려움 없고, 거리낌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SSG가 2022년 통합 우승을 차지했을 당시 “한을 풀었다”며 눈물을 감추지 못했던 추신수는 “우승했던 그 모습으로 은퇴하고 싶다. 마지막이 그런 모습이면 너무 아름답지 않을까 싶다”고 상상했다.

추신수는 “우승을 목표로 하지 않는 사람은 이 팀에 있을 자격이 없다. 우리 팀이 우승할 수 있다면, 나는 어떤 역할이라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개인 성적은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2022년 우승했던 모습으로 은퇴하고 싶다. 마지막이 그런 모습이면 너무 아름답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전했다.

추신수는 “올해 이후 어떻게 하고 싶은지에 대해서는 시즌이 끝날 때 생각할 것이다. 프런트든, 지도자든 결정을 한 후에는 배워야 한다. 야구만 했지 그런 부분은 배워야 한다”며 “어떤 길로 가든 제안이 왔을 때 잘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