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민희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피습 직후 부산대병원에서 응급치료를 받고 서울대병원으로 전원된 배경을 두고 부산시 의료계가 반발하고 있다.
4일 부산시의사회는 성명서을 내고 "부산대학교병원에서 1차 응급조치가 이뤄진 이후 민주당 지도부가 보여준 이중적이고 특권의식에 몰입된 행동을 규탄한다"고 날을 세웠다.
이어 "환자의 상태가 아주 위중했다면 당연히 지역 상급 종합병원인 부산대학교병원에서 수술 받아야 했고, 그렇지 않았다면 헬기가 아닌 일반 운송편으로 연고지 종합병원으로 전원했어야 마땅하다"며 "이것이 국가 외상 응급의료 체계이며, 전 국민이 준수해야 할 의료전달체계"라고 했다.
계속해서 "지방 의료 붕괴와 필수 의료 부족의 해결책으로 '지역 의사제'와 '지방 공공의대 설립' 입법을 추진한 민주당 스스로가 그들의 주장이 얼마나 허황된 것인지 증명했다"며 "특히 정청래 최고위원은 '잘하는 병원에서 해야 할 것 같다'고 하며 의료기관을 서열화하고 지방과 수도권을 '갈라치기'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심각한 응급상황이 아니었음에도 119 헬기를 전용했다는 것은 그 시간대에 헬기 이송이 꼭 필요한 환자들의 사용 기회를 강탈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재명 대표 수술 후 이틀위인 이날 서울대병원측은 기자회견을 열고 "그 수술의 성공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태"라면서 "따라서 경험 많은 혈관외과 의사의 집도가 꼭 필요한 상황이었다. 그래서 우리는 부산대병원의 전원 요청을 받아들였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 대표는 지난 2일 오전 부산 강서구 가덕도신공항 예정 부지를 둘러본 뒤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가지던 중 60대 남성 A씨로부터 흉기로 목을 찔려 부산대병원으로 이송됐다.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에서 응급치료를 받은 뒤 서울대병원으로 소방헬기를 통해 전원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