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솥비빔밥을 대표 메뉴로 장사하고 있는 중국 프랜차이즈 '미춘'의 광고판 / 사진 = 서경덕교수팀 제공
돌솥비빔밥을 대표 메뉴로 장사하고 있는 중국 프랜차이즈 '미춘'의 광고판 / 사진 = 서경덕교수팀 제공

【서울 = 서울뉴스통신】 송경신 기자 = 한국의 전통 음식 중 하나인 돌솥비빔밥이 3년 전 중국의 성(省)급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23일 "지난주 큰 논란이 된 이후 많은 제보를 받았다“며 ”그 중 돌솥비빔밥을 대표 메뉴로 장사하고 있는 중국 프랜차이즈 '미춘'을 알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미 중국 전역에서 매장 수가 1천개를 돌파했고, 매장 안에는 '조선족 비물질 문화유산'으로 홍보 중”이라며 “한 여성이 한복을 입고 돌솥비빔밥을 들고 있는 광고판을 사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이는 한복이 중국의 한푸에서 유래했다는 억지 주장을 뒷받침하는 듯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서 교수는 "예전부터 김치, 삼계탕 등 한국의 전통 음식을 중국의 것이라는 억지 주장을 펼쳐 왔는데, 돌솥비빔밥까지 체인점을 만들어 홍보하는 건 선을 넘었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중국에 관광 온 외국인들이 자칫 돌솥비빔밥을 중국 음식으로 오해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어 매우 우려스럽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서 교수는 "이번 일을 계기로 한국의 전통 음식을 전 세계에 올바르게 알리기 위한 다국어 영상 캠페인을 꾸준히 펼쳐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중국 지린성 정부는 지난 2021년 돌솥비빔밥 조리법을 '조선족 돌솥비빔밥 제작 기예(조리 기술)'라는 항목으로 지역 무형문화유산 목록에 포함시켰다.

'미춘' 매장 안에서 '조선족 비물질 문화유산'으로 홍보하고 있는 모습 / 사진 = 서경덕교수팀 제공
'미춘' 매장 안에서 '조선족 비물질 문화유산'으로 홍보하고 있는 모습 / 사진 = 서경덕교수팀 제공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