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특검법' 핵심의제로 제시할 듯…윤·한 '빈손' 면담에 논의 가능성↑
민생정책협의체 이르면 다음주 출범…한은 '금투세 폐지' 다시 띄울 듯
회담 이달 말 또는 내달 초 이뤄질듯…일부 현안 타협안 도출할지 관심

【서울 = 서울뉴스통신】 신현성 기자 =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차 여야 대표 회담'을 하는 가운데 한 대표는 당정 갈등이 부각되는 현 상황을 타개해야 하고, 이 대표는 1심 선고를 앞두고 있어 전략적으로 타협안을 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3일 여야에 따르면 양측은 조만간 비공개로 만나 2차 회담 시기와 의제 조율 등을 위한 실무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회담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국정감사가 막바지에 접어드는 이달 말이나 11월 초에 이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번 2차 회담은 이 대표의 제안에 한 대표가 선뜻 응하면서 성사됐다. 이 대표는 지난 2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양당 대표 회담을 공식 제안했는데 이에 앞서 두 대표는 지난 16일 재·보궐 선거 이후 2차 회담을 놓고 사전 교감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표 회담이 성사된다면 지난 9월 양자 회담 이후 두 번째 만남이다.
관심은 두 사람이 논의할 회담 의제에 쏠린다. 첫 양자 회담에서는 민생 공통 공약을 추진할 협의기구 운영 등에 합의했지만 채상병 특검법과 전 국민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법, 금융투자소득세 등 주요 쟁점에는 입장차만 확인한 채 결론을 내지 못했다.
일단 양측은 민생 회복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이루며 시급한 민생정책은 지체 없이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양당은 정책위의장을 중심으로 국정감사가 끝나는 대로 민생정책협의체를 구성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각론에서는 김건희 여사 특검법과 금투세 폐지 등 현안을 각각 핵심 의제로 던질 것으로 보인다.
강유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전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명태균·강혜경씨 논란으로 점점 더 짙어가는 김건희 여사 국정개입 의혹에 대한 해법을 논의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지난 21일에도 윤석열 대통령과 한 대표의 면담이 뚜렷한 성과 없이 끝나자 한 대표를 향해 특검 수용을 압박하고 나섰다.
한 대표는 1차 회담에서도 금투세 폐지를 우선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한 만큼 이번에도 회담 테이블에 올릴 것으로 점쳐진다. 이밖에 의료공백 사태와 관련해서도 구체적 방안을 놓고 머리를 맞댈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은 한·이 대표가 이번 2차 회담에서 1차 회담보다 의미 있는 합의안을 도출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대표는 여권을 흔들고 있는 김 여사 리스크 등으로 당정 지지율이 동반 하락하는 위기에 놓였고, 이 대표는 다음 달 공직선거법 위반과 위증교사 혐의의 1심 선고가 예정돼 있어 여론 환기 차원에서라도 변곡점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