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오후 2시 대심판정서 한 총리 탄핵심판 1차 변론기일 열어
한 총리 측, 윤 탄핵심판보다 먼저 판단해야
의결정족수 '200' vs '151' 권한쟁의 첫 변론도 진행

한덕수 국무총리가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전체회의(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02.06) / 사진 = 서울뉴스통신 이창호 기자
한덕수 국무총리가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전체회의(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02.06) / 사진 = 서울뉴스통신 이창호 기자

【서울 = 서울뉴스통신】 신현성 기자 =헌법재판소는 19일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심판 첫 변론기일을 연다. 직무정지 54일 만이다. 이어 한 총리 탄핵소추안 의결 정족수 관련 권한쟁의심판 첫 변론기일도 동시에 진행한다.

법조계에 따르면 헌재는 이날 오후 2시 대심판정에서 한 총리 탄핵심판 1차 변론기일을 연다.

앞서 국회는 지난해 12월 27일 한 총리 탄핵안을 재적의원 300명 중 192명이 참석한 가운데 찬성 192표로 통과시킨 바 있다.

탄핵안 통과를 주도한 야당은 △'채해병·김건희 특검법'에 대한 대통령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를 건의한 점 △12·3 비상계엄 사태에 적극 가담한 점 △계엄 직후 당정 공동 국정운영 구상을 밝힌 점 △'내란 상설특검' 후보 추천 의뢰를 방기한 점 △헌법재판관 임명을 거부한 점 등을 소추 사유로 제시했다.

헌재는 두 차례 변론준비기일을 열고 사건 쟁점과 증거·증인 등을 정리했다.

헌재는 이날 오후 4시 대심판정에서 한 총리 탄핵소추안 의결 정족수 관련 국회의원과 국회의장 간 권한쟁의심판 1차 변론기일도 진행한다.

여야는 한 총리 탄핵소추안 처리 과정에서 대통령 권한대행의 탄핵안 의결 정족수를 놓고 공방을 벌였다.

야당은 한 총리 탄핵에 국무위원 탄핵소추 기준을 적용해 재적 과반(151명) 찬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으나 여당은 대통령 탄핵소추 기준에 준하는 국회 재적의원(300명)의 3분의 2(200명)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당시 우원식 국회의장은 한 총리 탄핵에 국무위원 탄핵소추 기준인 재적 과반(151명) 찬성이 필요하다고 정했다. 국민의힘은 탄핵안 통과 직후 표결 자체가 원천 무효라고 주장하며 헌재에 권한쟁의심판과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

17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전경.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snakorea.rc@gmail.com
17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전경. 서울뉴스통신 이성현 기자 snakorea.rc@gmail.com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