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자금 의존에 자산운용 리스크
채권추심사 고객정보 접근도 ‘활성’ 유지
금융사고 대응체계 미흡 지적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전경. / 사진 = 서울뉴스통신 DB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전경. / 사진 = 서울뉴스통신 DB

【서울 = 서울뉴스통신】 이민희 기자 = 신한카드의 베트남 현지법인이 금융사고 보고 절차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단기자금에 과도하게 의존해온 사실이 드러나 금융감독원의 ‘경영유의’ 조치를 받았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신한카드 베트남법인에 대한 검사 결과를 토대로 경영 유의사항과 개선 과제를 통보했다.

검사 결과에 따르면 베트남법인은 영업자금의 상당 부분을 현지 금융기관으로부터 단기차입으로 조달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자산과 부채 간 만기 불일치에 따른 유동성 리스크가 커졌으며, 시장 상황이 악화될 경우 차환 실패나 조달 여건 악화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였다.

또한, 계약이 종료된 채권추심업체의 직원들이 여전히 고객정보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계정이 활성화된 상태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해 고객 정보 유출과 퇴사자에 의한 자금 유용 등의 잠재적 위험에 노출된 셈이다.

채권회수 과정에서도 허점이 발견됐다. 고위험 채권에 대한 점검이 누락되거나 샘플 점검 비중이 미미해 회수 적정성 검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신용평가모형 관리도 부실했다. 베트남법인은 2019년 현지 진출 당시 구축한 신용평가모형을 단 한 차례만 갱신했고, 이후 변별력 저하로 대출 자산의 건전성이 악화됐음에도 개선 조치가 없었다.

금융사고 발생 시 본사 보고 절차도 사실상 작동하지 않고 있었다. 법인장에게 금융사고 발생 시 본사 보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지침이 마련돼 있지 않아 실제로 보고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금감원은 “단기자금 중심의 자금조달 구조를 개선하고, 내부통제 체계를 정비해야 한다”며 “금융사고에 대한 명확한 보고 체계와 처리 지침을 수립하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