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초 이미 누적 1천명 돌파 ‘역대 최단’
환자 2.5배·사망자 2.7배 급증
야외작업·고령층에 예방 수칙 강조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기록적인 폭염이 본격화되며 온열질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 지난 8일 하루 동안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가 238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8년 8월 이후 최대치로, 올해 무더위가 2018년 '최악의 여름'에 견줄 만한 수준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0일 질병관리청은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집계 결과, 올해 5월 15일부터 7월 8일까지 누적 온열질환자가 총 1,228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사망자는 8명에 이른다. 특히 8일 하루에만 238명이 온열질환으로 발생했으며, 이는 2018년 8월 3일(229명) 이후 처음 있는 수치다. 감시체계 운영 이래 가장 많은 온열질환자 발생은 2018년 8월 2일 250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질병청은 “2011년 감시체계 운영 이래 가장 빠른 시점에 1천명을 돌파한 해가 올해”라며, 이례적으로 빠른 폭염 확산에 따른 위험성을 경고했다. 실제로 기상청에 따르면 6월 28일 이후 전국 평균 최고기온이 31도를 넘기며 고온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올해 온열질환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약 2.5배 많고, 사망자는 2.7배 증가했다. 전체 환자 중 실외에서 발생한 사례가 81.1%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발생 장소는 작업장(28.7%), 논밭(14.4%), 길가(13.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 고령층이 33.6%를 차지하고, 50대 이상이 전체의 61.1%를 차지해 고령층의 피해가 두드러졌다.

질병청은 폭염 취약계층인 고령자와 야외작업 종사자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특히 농어민과 실외 노동자들은 장시간 고온환경에서 작업을 피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예년보다 빠른 폭염과 열대야로 온열질환 발생 위험이 매우 높다”며 “어르신과 어린이, 만성질환자 등은 가족과 이웃의 지속적인 관심 속에서 시원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