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예산안에 79억 편성, 산업단지 근로자 5만4000명 대상
아침·점심 식비 지원…특·지자체·기업 공동 부담
“포퓰리즘” vs “먹거리 복지 확대” 엇갈린 평가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정부가 내년도 예산안에 ‘직장인 든든한 한끼’ 시범사업을 새로 포함시키면서 정치권과 여론에서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기획재정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2일, 2026년도 예산안에 총 79억원 규모의 직장인 식비 지원 예산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식사 여건이 부족한 인구감소지역 산업단지 근로자와 중소기업 종사자 약 5만4000명을 대상으로 하며, 아침·점심을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이 골자다.
아침 식사는 백반·김밥 등 쌀로 만든 메뉴를 1000원에 제공하고, 점심 식사는 산업단지 인근 음식점에서 11시부터 15시까지 결제 시 20%를 할인받을 수 있다.
다만 점심 지원은 월 4만원 한도로 제한된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2026년부터 3년간 시범 운영하며 효과를 면밀히 검증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공공의 역할을 강조하며 “취약한 식생활 환경에 놓인 중소기업 및 지역 근로자도 건강한 한 끼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비판도 나온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저소득층이나 결식아동이 아닌 직장인 식비까지 세금으로 보조하는 것은 포퓰리즘”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식당들이 오히려 가격을 올릴 가능성이 있다”며 물가 불안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국민의힘 최보윤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일자리조차 없어 끼니 해결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노년층이 많은 상황에서 직장인 식비 지원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며 "정부가 직장인 표심을 노리고 포퓰리즘을 펼치려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한편 정부는 이번 예산안을 통해 ‘성장 동력 확보(72조원)’, ‘모두의 성장·기본사회(175조원)’, ‘국민 안전 및 국익 중심 외교(30조원)’를 3대 중점 투자 방향으로 제시했다. 농어촌 지역 주민 24만명에게 월 15만원을 지급하는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2000억원)'과 대학생 '1000원 아침밥' 지원 확대(450만명→540만명)도 포함됐다. 그러나 재정 지출 확대가 실제 성장률 회복으로 이어질지는 여전히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