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례 소환 불응 뒤 원하는 날짜에 자진 출석
정치자금법·청탁금지법 위반 혐의 집중 조사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 열어두고 수사 지속

【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윤석열 정권 로비 의혹의 핵심 인물로 지목된 한학자 통일교 총재가 자진 출석했으나, 특별검사팀은 그의 태도가 임의적이었다며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의 김형근 특별검사보는 17일 "피의자가 특검의 3회 소환 요구에 응하지 않고, 공범 권성동 의원의 구속 여부를 지켜본 뒤 임의로 출석일을 선택해 일방적으로 출석했다"며 "앞으로 법 절차에 따라 엄정히 처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총재는 이달 8일, 11일, 15일 세 차례 소환 통보에 불응했으며, 건강 문제를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한 바 있다. 하지만 3차 불응 시에는 '17일 또는 18일' 출석 의사를 전달하며 사실상 특검의 일정을 조정하려는 행보를 보였다. 특검은 이러한 태도가 피의자의 방어권 범위를 넘어섰다고 보고 있다. 다만 자진 출석한 만큼 체포영장은 청구하지 않되, 향후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을 열어둔 채 수사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이날 오전 10시부터 조사를 받은 한 총재는 변호인 2명과 동석해 진술 거부 없이 수사에 협조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한 총재의 건강을 고려해 조사 중단을 대비해 구급차를 현장에 대기시켰다. 준비된 질문지는 50여쪽 분량으로, 낮 12시 34분까지 약 3분의 1가량 진행됐으며, 점심 식사 후 조사가 재개됐다.
특검은 한 총재에게 정치자금법 및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를 적용해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하고 있다. 주요 쟁점은 △2022년 1월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이 권성동 의원에게 정치자금 1억원을 전달할 당시 사전 승인 여부 △윤씨가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통해 고가의 명품을 건네며 현안을 청탁한 과정에 한 총재가 개입했는지 여부다.
아직 권 의원이나 김건희 여사와의 대질은 계획하지 않았지만, 수사 진척 상황에 따라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특검은 이날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리는 윤영호씨의 첫 공판에 수사 책임자를 직접 출석시켜 공소 유지에 힘을 쏟고 있으며, 오는 24일 예정된 김 여사의 첫 공판에도 특검보를 투입할 예정이다. 또한 구속된 권 의원 등 주요 피의자들의 구속 기한 만료가 추석 연휴와 겹치는 만큼, 그 전에 공소 제기를 검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