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투자펀드 협상, 상업성 확보가 관건
북핵 동결, 현실적 “비상조치” 가능성 열어둬
미국인 구금 사태·한미 동맹 우려 속 균형 강조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42회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9.16) / 사진 = 대통령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42회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9.16) / 사진 = 대통령실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은 22일 공개된 로이터 및 BBC 인터뷰에서 미국이 요구하는 방식대로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펀드를 통화스와프 없이 전액 현금으로 수용할 경우 한국이 1997년 외환위기와 유사한 금융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상업적 타당성을 보장하는 구체적 합의에 도달해야 한다면서, 현재 실무 협의에서 제시된 제안들이 이를 충분히 뒷받침하지 못해 양측의 격차를 좁히기 어렵다고 했다. 

또 대통령은 영국 BBC 인터뷰에서 북한의 비핵화 문제와 관련해 “북핵 동결”이 임시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에 핵무기 생산을 동결하는 합의가 이뤄진다면 이를 수용할 수 있으며, 핵과 미사일 개발의 중단만으로도 분명한 이익이 있다고 평가했다. 장기적 비핵화 목표는 포기하지 않는다는 전제 아래 현실적인 목표 설정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대통령은 최근 미국 조지아주에서 한국인 근로자들이 대거 구금된 사태를 두고 “가혹한 조치”라고 표현하였지만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고의적 지시보다는 과잉 집행의 결과로 보인다고 했다. 미국은 사과했고, 합리적 해결책 모색 중이며 양국 동맹이 훼손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10월 유엔총회 참석을 앞두고 이 대통령은 “민주주의 한국의 복귀”를 알릴 계획이라며, 국제사회 속 한국의 입지와 안보 환경 변화에 대해 균형 있는 외교적 대응을 모색할 뜻을 밝혔다. 

금융·안보 모두 한국의 중대한 이해관계가 얽힌 이 사안에서는 “이상적인 목표”와 “현실 가능한 대안”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과정이 앞으로의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